불교 경전 148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10장 장엄정토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10장 장엄정토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10장 해설 바로가기 제10장 장엄정토분 원문 莊嚴淨土分 第 十 장엄정토분 제 10 佛告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昔在燃燈佛所 於法 有所得不 불고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석재연등불소 어법 유소득부不也 世尊 如來在燃燈佛所 於法 實無所得 불야 세존 여래재연등불소 어법 실무소득須菩提 於意云何 菩薩 莊嚴佛土不 수보리 어의운하 보살 장엄불토부不也 世尊 何以故 莊嚴佛土者 卽非莊嚴 是名莊嚴 불야 세존 하이고 장엄불토자 즉비장엄 시명장엄是故 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生淸淨心 시고 수보리 제보살마하살 응여시생청정심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無所住 而生其心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須菩提 譬如有人 身如須彌山王 於意云何 是身 爲..

불교 경전 2025.06.17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9장 일상무상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9장 일상무상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9장 해설 바로가기 제9장 일상무상분 원문 一相無相分 第 九 일상무상분 제 9 須菩提 於意云何 須陀洹 能作是念 我得須陀洹果不 수보리 어의운하 수다원 능작시념 아득수다원과부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須陀洹 名爲入流 而無所入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수다원 명위입류 이무소입不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불입색성향미촉법 시명수다원須菩提 於意云何 斯陀含 能作是念 我得斯陀含果不 수보리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아득사다함과부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斯陀含 名一往來 而實無往來 是名斯陀含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사다함 명일왕래 이실무왕래 시명사다함須菩提 於意云何 阿那含 能作是念 我得阿那含果不 수보리 어의운하 아나함 능작시념 아득아나함과부須..

불교 경전 2025.06.16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8장 의법출생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8장 의법출생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8장 해설 바로가기 제8장 의법출생분 원문 依法出生分 第 八 의법출생분 제 8 須菩提 於意云何 수보리 어의운하若人 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 所得福德 寧爲多不 약인 만삼천대천세계칠보 이용보시 시인 소득복덕 영위다부須菩提言 甚多 世尊 何以故 是福德 卽非福德性 是故 如來說福德多 수보리언 심다 세존 하이고 시복덕 즉비복덕성 시고 여래설복덕다若復有人 於此經中 受持乃至四句偈等 爲他人說 其福 勝彼 약부유인 어차경중 수지내지사구게등 위타인설 기복 승피何以故 須菩提 一切諸佛 及諸佛阿縟多羅三邈三菩提法 皆從此經出 하이고 수보리 일체제불 급제불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 개종차경출須菩提 所謂佛法者 卽非佛法 수보리 소위불법자 즉비불법 법구경(法句經, ..

불교 경전 2025.06.15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7장 무득무설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7장 무득무설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7장 해설 바로가기 제7장 무득무설분 원문 無得無說分 第 七 무득무설분 제 7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得阿縟多羅三邈三菩提耶 如來有所說法耶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야 여래유소설법야須菩提言 如我解佛所說義 無有定法 名阿縟多羅三邈三菩提 수보리언 여아해불소설의 무유정법 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亦無有定法 如來可說 역무유정법 여래가설何以故 如來所說法 皆不可取 不可說 非法 非非法 하이고 여래소설법 개불가취 불가설 비법 비비법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 而有差別 소이자하 일체현성 개이무위법 이유차별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법구경(法句經, Dhamma..

불교 경전 2025.06.14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6장 정신희유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6장 정신희유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6장 해설 바로가기 제6장 정신희유분 원문 正信希有分 第 六 정신희유분 제 6 須菩提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得聞如是言說章句 生實信不 수보리 백불언 세존 파유중생 득문여시언설장구 생실신부佛告須菩提 불고수보리莫作是說 如來滅後 後五百歲 有持戒修福者 於此章句 能生信心 以此爲實 막작시설 여래멸후 후오백세 유지계수복자 어차장구 능생신심 이차위실當知是人 不於一佛二佛三四五佛 而種善根 已於無量千萬佛所 種諸善根 당지시인 불어일불이불삼사오불 이종선근 이어무량천만불소 종제선근聞是章句 乃至一念 生淨信者 문시장구 내지일념 생정신자須菩提 如來 悉知悉見 是諸衆生 得如是無量福德 수보리 여래 실지실견 시제중생 득여시무량복덕何以故 是諸衆生 無復我相 人相 衆生..

불교 경전 2025.06.13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5장 여리실견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5장 여리실견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5장 해설 바로가기 제5장 여리실견분 원문 如理實見分 第 五 여리실견분 제 5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身相 見如來不 수보리 어의운하 가이신상 견여래부不也 世尊 不可以身相 得見如來 불야 세존 불가이신상 득견여래 何以故 如來所說身相 卽非身相 하이고 여래소설신상 즉비신상佛告須菩提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불고수보리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재상비상 즉견여래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1.쌍서품(雙叙品)2.방일품(放逸品)3.심의품(心意品)4.화향품(花香品)5.우암품(愚闇品)6.현철품(賢哲品..

불교 경전 2025.06.12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4장 묘행무주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4장 묘행무주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4장 해설 바로가기 제4장 묘행무주분 원문 妙行無住分 第 四묘행무주분 제 4 復次須菩提 菩薩 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부차수보리 보살 어법 응무소주 행어보시 所謂 不住色布施 不住聲香味觸法布施 소위 부주색보시 부주성향미촉법보시須菩提 菩薩 應如是布施 不住於相 수보리 보살 응여시보시 부주어상何以故 若菩薩 不住相布施 其福德 不可思量 하이고 약보살 부주상보시 기복덕 불가사량須菩提 於意云何 東方虛空 可思量不 수보리 어의운하 동방허공 가사량부不也 世尊 須菩提 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 可思量不 불야 세존 수보리 남서북방사유상하허공 가사량부不也 世尊 須菩提 菩薩無住相布施福德 亦復如是 不可思量 불야 세존 수보리 보살무주상보시복덕 역부여시 불가사량須菩提..

불교 경전 2025.06.11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3장 대승정종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제3장 대승정종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3장 해설 바로가기 제3장 대승정종분 원문大乘正宗分 第 三 대승정종분 제 3 佛告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불고수보리 제보살마하살 응여시항복기심所有一切衆生之類 若卵生 若胎生 若濕生 若化生 若有色 若無色 소유일체중생지류 약란생 약태생 약습생 약화생 약유색 약무색若有想 若無想 若非有想非無想 我皆令入無餘涅槃 而滅度之 약유상 약무상 약비유상비무상 아개영입무여열반 이멸도지如是 滅度無量無數無邊衆生 實無衆生 得滅度者 여시 멸도무량무수무변중생 실무중생 득멸도자何以故 須菩提 若菩薩 有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卽非菩薩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 법..

불교 경전 2025.06.10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2장 선현기청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2장 선현기청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2장 해설 바로가기 제2장 선현기청분 원문善現起請分 第 二 선현기청분 제 이 時 長老須菩提 在大衆中 卽從座起 偏袒右肩 右膝着地 合掌恭敬 而白佛言 시 장로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 우슬착지 합장공경 이백불언 希有世尊 如來 善護念 諸菩薩 善付囑 諸菩薩 희유세존 여래 선호념 제보살 선부촉 제보살 世尊 善男子 善女人 發 阿縟多羅三邈三菩提心 應云何住 云何降伏其心 세존 선남자 선여인 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 佛言 善哉善哉 須菩提 불언 선재선재 수보리 如汝所說 如來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汝今諦請 當爲汝說 여여소설 여래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 여금제청 당위여설 善男子善女人 發阿縟多羅三邈三菩提心 應如是住 如是降..

불교 경전 2025.06.09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1장 법회유인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1장 법회유인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1장 해설 바로가기제1장 법회유인분 원문法會因由分 第 一 법회유인분 제 일 如是我聞 여시아문 一時 佛 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 일시 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덕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구 爾時 世尊 食時 着衣持鉢 入 舍衛大城 乞食 於其城中 次第乞已 이시 세존 식시 착의지발 입 사위대성 걸식 어기성중 차제걸이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환지본처 반사흘 수의발 세족이 부좌이좌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마음의 거울, 부처님의 말씀법구경(法句經) 목차 정리불교 경전 중에서도 가장 널리 읽히고 사랑받는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짧지만 깊은 ..

불교 경전 2025.06.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