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 148

불설아미타경 - 독송문전문(한글)

불설아미타경 - 독송문(한글) 천수경 독경문(한문)• 오분향게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 헌향진언​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kidae.co.kr • 삼귀의계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

불교 경전 2025.10.11

보궐진언(補闕眞言)

보궐진언(補闕眞言) 천수경 독경문(한문) 🪷 전체 뜻“수행 중 빠지거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주는 신성한 주문” 즉, 불교 의식이나 기도, 염불 중 무의식적으로 실수하거나, 빠뜨리거나, 마음이 흐트러진 부분이 있을 경우그 결함을 메꾸고 공덕을 온전하게 회향하도록 돕는 진언입니다.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faithin.info-kidae.co.kr 🙏 보궐진언의 의미와 역할불교 의식(재, 예불, 기도 등)은 복잡하고 정성이 많이 들어가므로, 인간이 완벽하게 수행하기는 어렵습니다.보궐진언은 그런 인간적인 실수나..

불교 경전 2025.10.10

원성취진언(願成就眞言)

원성취진언(願成就眞言)천수경 독경문(한문) 🪷 전체 의미“바라는 바가 온전히 이루어지도록 돕는 진언”“모든 발원이 성취되기를 기원하는 신성한 주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faithin.info-kidae.co.kr 🙏 원성취진언의 역할불교에서 ‘발원(發願)’은 수행자의 신심(믿음)과 염원을 불보살께 아뢰는 행위입니다.이때 “원성취진언”은 그 염원이 헛되지 않고 꼭 성취되기를 기도하는 핵심적인 진언입니다.기도 후 회향 시 사용되기도 하며소원 성취, 장애 소멸, 복덕 증장, 수행 완성 등을 기원할 때 염송됩니..

불교 경전 2025.10.09

보회향진언(普廻向眞言)

보회향진언(普廻向眞言) 진언 뜻“모든 공덕과 복을 널리 두루 중생에게 회향하는 주문” 즉, 수행이나 염불, 참선 등에서 얻은 공덕을 자신만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존재와 나누고자 하는 자비의 마음과 뜻을 담은 진언입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의미와 활용불교 수행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회향’은 자신의 수행 결과를 세상의 모든 존재에게 이롭게 하고자 하는 마음입니다.보회향진언은 이러한 회향의 뜻을 담아 공덕을 널리 퍼뜨리는 의식이나 염불 중에 사용됩니다.이 진언을 통해 수행자는 자신의 선행과 공덕이 모두에게 미치기를 기원하며, 보시(나눔)와 자비심을 실천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

불교 경전 2025.10.08

답살무죄진언(踏殺無罪眞言)

답살무죄진언(踏殺無罪眞言) - 생명존중과 보호의 진언불교는 모든 생명을 존중하고 자비를 실천하는 가르침을 근간으로 합니다.특히 일상 속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들까지 보호하려는 마음가짐은 매우 중요합니다.그런 마음을 담은 답살무죄진언(踏殺無罪眞言)과 힘과 자비를 담은 옴 이제리니 사바하, 그리고 깨달음과 빛을 상징하는 옴 일디유리 사바하 진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답살무죄진언 (踏殺無罪眞言): 생명을 밟아도 죄가 없게 해주는 진언‘답살무죄진언’은 길을 걸을 때 부주의하게 작은 벌레나 개미 같은 생명을 밟더라도 죄업이 쌓이지 않도록 비는 주문입니다.불교 수행자들은 모든 생명에 대한 자비심을 기본으로 하지만, 현실적으로 길을 걷는 과정에서 작은 생명을 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

불교 경전 2025.10.07

행보불상충의주(行步不傷蟲蟻呪)

행보불상충의주(行步不傷蟲蟻呪) - 🦋 걸음마다 자비를 담다진언 구성옴 지리지리 사바하 천수경 독경문(한문) 🌿 생명 존중의 마음을 담은 진언불교에서 모든 생명은 소중하며,작은 벌레와 개미조차도 해치지 않도록 마음을 다지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러한 마음을 담은 진언이 바로 행보불상충의주 (行步不傷蟲蟻呪)입니다.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faithin.info-kidae.co.kr 🐜 행보불상충의주 (行步不傷蟲蟻呪)뜻: “걸어다닐 때 벌레와 개미를 해치지 않는 주문”해석:이 진언은 길을 걸을 때 보이지 않는 작..

불교 경전 2025.10.06

혜철수진언(慧徹修眞言)

혜철수진언(慧徹修眞言) 1. 진언 구성옴 나자바니 사바하 천수경 독경문(한문) 2. 의미 및 상징 혜철(慧徹): ‘지혜(慧)’가 ‘철저히 통한다(徹)’ 혹은 ‘통달한다’는 뜻이므로, 깊은 지혜가 완전히 드러나는 것 또는 지혜로 완성된 수행을 의미할 가능성이 큼.수(修): ‘수행함’이라는 뜻이니까, 지혜를 단순히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것만이 아니라 실제 수행을 통해 체득하고 삶 속에서 드러내려는 결심과 노력을 포함함.혜철수진언은 지혜를 철저히 수행함을 기원하는 주문이고, 수행자가 지혜의 빛으로 마음을 밝히고 번뇌를 꿰뚫기를 바라는 수행적 염원으로 보여집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

불교 경전 2025.10.05

정결도진언(定決道眞言)

정결도진언(定決道眞言) 진언 구성 옴 합부리 사바하 📌 정결도진언이란?정결도(定決道)는 마음을 안정시켜 결단한 수행의 길을 의미합니다.정결도진언은 불공이나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신체와 마음, 공간을 정화하는 진언으로 많이 사용됩니다.사찰에서도 예불 전이나 불단 앞에서 자주 염송하며, 불보살을 맞이할 준비를 할 때 사용되죠.✅ 전체 의미 (의역)“모든 부정함을 없애고 청정한 수행의 길이 열리기를 바랍니다. 이 발원이 이루어지기를.” “부정함을 깨끗이 씻어내고, 맑고 고요한 마음으로 수행의 길에 들게 하소서.”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

불교 경전 2025.10.04

계장진언(戒藏眞言)

계장진언(戒藏眞言)진언 구성“옴 흐리부니 사바하”📌 계장진언이란?“계장(戒藏)”이란 말 그대로 계율의 보배창고, 즉 부처님이 설하신 계율의 진리와 가르침을 뜻합니다.계장진언은 이 계율을 보호·지키고, 계율을 범한 죄를 참회하거나 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언입니다.계율을 지키는 힘을 얻고, 계행(戒行)을 회복하고자 할 때 염송됩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 전체 해석 (의역)“저는 계율을 어긴 것을 부끄러워하고 참회하며, 계행을 회복하겠습니다. 이 발원이 온전히 성취되기를 바랍니다.” “계율을 지키는 마음을 일으키고, 어긴 죄를 참회하여 정화되기를 기원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

불교 경전 2025.10.03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 스님들의 세 가지 승(乘)을 기리는 진언불교 수행에서 진언은 마음을 정화하고 불법(佛法)을 기억하며 중생의 고통을 덜어 주는 중요한 수행의 도구입니다.그중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은 ‘삼승(三乘)’을 기리는 주문으로, 스님 혹은 승려의 길, 불제자 수행자의 길에 대한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승삼승”이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세 가지 승의 길’을 뜻하는데, 보통 법승(法乘)·열반승·보살승 또는 성문·연각·보살 등의 구도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진언 형태옴 수탄복다예 사바하의미와 상징승삼승진언은 다음과 같은 의미와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삼승에 대한 귀의와 발원수행자가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등의 세 길(三乘)의 가르침과 길을 존중하고 본받..

불교 경전 2025.10.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