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 148

廣衍品(광연품)

광연품 (廣衍品) 작은 쾌락을 버림으로써 큰 기쁨을 얻을 수 있다면, 지혜로운 사람은 더 큰 기쁨을 위해 작은 쾌락을 기꺼이 버린다. 자기 절제와 이타적 삶을 통해 내면의 번뇌를 극복하고,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 廣衍品(광연품)1廣衍品(광연품)2廣衍品(광연품)3廣衍品(광연품)4廣衍品(광연품)5廣衍品(광연품)6廣衍品(광연품)7廣衍品(광연품)8廣衍品(광연품)9廣衍品(광연품)10廣衍品(광연품)11廣衍品(광연품)12廣衍品(광연품)13廣衍品(광연품)14廣衍品(광연품)15廣衍品(광연품)16🔸 광연품 1원문施安雖小 (시안수소)其報彌大 (기보미대)慧從小施 (혜종소시)受見景福 (수견경복) 한글 번역작은 자비를 베푸는 일이 비록 작더라도,그 보답은 매우 큽니다.지혜는 작은 자비에서부터 시작되며,그 결과로 복을 받게 됩..

道行品(도행품)

도행품 (道行品) 스승의 가르침을 통해 지혜를 얻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삿된 결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 생사의 덧없음과 괴로움을 인식하고, 이를 여의려면 도를 행해야 함이다. 道行品(도행품)1道行品(도행품)2道行品(도행품)3道行品(도행품)4道行品(도행품)5道行品(도행품)6道行品(도행품)7道行品(도행품)8道行品(도행품)9道行品(도행품)10道行品(도행품)11道行品(도행품)12道行品(도행품)13道行品(도행품)14道行品(도행품)15道行品(도행품)16道行品(도행품)17 🔸 도행품 1원문道爲人直妙 (도위인직묘)聖諦四句上 (성제사구상)無欲法之最 (무욕법지최)明眼二足尊 (명안이족존) 한글 번역도(道)는 사람에게 직관적이고 미묘하며,성스러운 진리의 네 가지 구절 위에 있습니다.무욕이 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눈 밝..

住法品(주법품)

주법품 (住法品) 도를 닦는 사람은 이익을 추구하여 다투지 않으며, 욕망이 없으면 미혹되지 않는다. 미움과 두려움에서 벗어나 고요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 진정한 지혜를 지닐 수 있다.住法品(주법품)1住法品(주법품)2住法品(주법품)3住法品(주법품)4住法品(주법품)5住法品(주법품)6住法品(주법품)7住法品(주법품)8住法品(주법품)9住法品(주법품)10住法品(주법품)11住法品(주법품)12住法品(주법품)13住法品(주법품)14住法品(주법품)15住法品(주법품)16住法品(주법품)17 🔸 주법품 1원문好經道者 (호경도자)不競於利 (불경어리)有利無利 (유리무리)無欲不惑 (무욕불혹) 한글 번역도리를 좋아하는 자는이익을 다투지 않으며,이익이 있든 없든,욕망이 없으면 미혹되지 않는다. 해설 도리를 따르는 사람은 물질적 이익에 집..

塵垢品(진구품)

진구품 (塵垢品) 지혜와 정진을 통해 마음의 때를 씻어내야 함이다. 선행과 수행을 통해 생사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塵垢品(진구품)1塵垢品(진구품)2塵垢品(진구품)3塵垢品(진구품)4塵垢品(진구품)5塵垢品(진구품)6塵垢品(진구품)7塵垢品(진구품)8塵垢品(진구품)9塵垢品(진구품)10塵垢品(진구품)11塵垢品(진구품)12塵垢品(진구품)13塵垢品(진구품)14塵垢品(진구품)15塵垢品(진구품)16塵垢品(진구품)17塵垢品(진구품)18塵垢品(진구품)19 🔸 진구품 1원문生無善行 (생무선행)死墮惡道 (사타악도)往疾無間 (왕질무간)到無資用 (도무자용) 한글 번역살 때 선행이 없으면,죽어서 악한 길에 떨어지며,빠르게 가되 그 사이에 간격이 없고,도달했으나 자원이 없게 된다. 해설선행을 하지 않으면 죽음 후 악한 길에 빠..

忿怒品(분노품)

분노품 (忿怒品) 분노와 자만을 버리고, 자기 통제와 자비를 실천함으로써 진정한 자유와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忿怒品(분노품)1忿怒品(분노품)2忿怒品(분노품)3忿怒品(분노품)4忿怒品(분노품)5忿怒品(분노품)6忿怒品(분노품)7忿怒品(분노품)8忿怒品(분노품)9忿怒品(분노품)10忿怒品(분노품)11忿怒品(분노품)12忿怒品(분노품)13忿怒品(분노품)14🔸 분노품 1원문捨恚離慢 (사혜리만)避語愛貪 (피어애탐)不着名色 (부착명색)無爲滅苦 (무위멸고) 한글 번역분노를 버리고 교만을 떠나며,사랑과 탐욕을 멀리하고,명성과 색깔에 집착하지 않으며,행동하지 않음으로써 고통을 없앤다. 해설분노와 교만을 버리고 마음을 가라앉히는 것이 중요합니다.탐욕과 사랑을 피하는 것은 내면의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입니다.명예나 외모에 집착하지..

愛好品(애호품)

애호품 (愛好品) 사랑이나 애착이 집착으로 변하면 고통의 원인이 되며, 자기 통제를 통해 내면의 평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愛好品(애호품)1愛好品(애호품)2愛好品(애호품)3愛好品(애호품)4愛好品(애호품)5愛好品(애호품)6愛好品(애호품)7愛好品(애호품)8愛好品(애호품)9愛好品(애호품)10愛好品(애호품)11愛好品(애호품)12 🔸 애호품 1원문違道則自順 (위도즉자순)順道則自違 (순도즉자위)捨義取所好 (사의취소호)是爲順愛欲 (시위순애욕) 한글 번역도리를 어기면 스스로 순응하고,도리를 따르며 스스로 어기게 된다.의리를 버리고 좋아하는 것을 취하면,이는 사랑과 욕망을 따르는 것이다. 해설 도리를 벗어나면 결국 자아의 갈등이 발생합니다.도리를 따를수록 참된 순응이 이루어집니다.사랑과 욕망을 따르기보다는 의리를 지..

安樂品(안락품)

안락품 (安樂品) 자신을 다스리는 자는, 세상의 모든 것을 다스리는 것보다 더 큰 승리를 이룬다.安樂品(안락품)1安樂品(안락품)2安樂品(안락품)3安樂品(안락품)4安樂品(안락품)5安樂品(안락품)6安樂品(안락품)7安樂品(안락품)8安樂品(안락품)9安樂品(안락품)10安樂品(안락품)11安樂品(안락품)12 🔸 안락품 1 원문我生已安 (아생이안)不慍於怨 (불온어원)衆人有怨 (중인유원)我行無怨 (아행무원)한글 번역내 삶은 이미 평안하고,원망에 대해 분노하지 않으며,세상 사람들은 원망이 있지만,나는 원망 없이 살아간다. 해설내면의 평화는 외부의 원망에 흔들리지 않는 것입니다.타인의 원망이나 비판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진정한 평화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합니다.이렇게 살면 마음의 고..

佛陀品(불타품)

불타품 (佛陀品) 부처님은 외부의 충격에 휘둘리지 않으며, 그 마음은 항상 평온하고 고요하다.佛陀品(불타품)1佛陀品(불타품)2佛陀品(불타품)3佛陀品(불타품)4佛陀品(불타품)5佛陀品(불타품)6佛陀品(불타품)7佛陀品(불타품)8佛陀品(불타품)9佛陀品(불타품)10佛陀品(불타품)11佛陀品(불타품)12佛陀品(불타품)13佛陀品(불타품)14佛陀品(불타품)15佛陀品(불타품)16佛陀品(불타품)17佛陀品(불타품)18 🔸 불타품 1 원문已勝不受惡 (이승불수악)一切勝世間 (일체승세간)叡智廓無疆 (예지확무강)開曚令入道 (개몽령입도) 한글 번역이미 이긴 이는 악을 받지 않으며,모든 세상 위에 뛰어나며,지혜는 넓고 끝이 없으며,어리석음을 열어 도에 들게 하신다. 해설부처님은 모든 악을 뛰어넘은 존재입니다.그분의 지혜는 한계가 없고..

世俗品(세속품)

세속품 (世俗品) 세상에서 가장 귀한 것은 마음의 평온이다. 그 어떤 보물도 그것에 비할 바가 아니다.世俗品(세속품)1世俗品(세속품)2世俗品(세속품)3世俗品(세속품)4世俗品(세속품)5世俗品(세속품)6世俗品(세속품)7世俗品(세속품)8世俗品(세속품)9世俗品(세속품)10世俗品(세속품)11世俗品(세속품)12🌿 세속품 1📜 원문 不親卑漏法 (불친비루법)不興放逸會 (불흥방일회)不種邪見根 (부종사견근)不於世長惡 (불어세장악)📝 한글 번역천한 잘못된 법과 친하지 말고,방탕한 모임을 일으키지 말며,그릇된 견해의 뿌리를 심지 말고,세속에서 오래 악을 행하지 마라.💡 해설어리석고 천한 법과 잘못된 사람들과의 관계를 멀리해야 함을 가르칩니다.방탕함은 마음을 흐리게 하고, 올바른 수행을 방해합니다.사견(邪見)은 악의 씨..

己身品(기신품)

기신품 (己身品) 자기 자신을 이기는 것이 진정한 승리이며,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이 진정한 지혜이다.己身品(기신품)1己身品(기신품)2己身品(기신품)3己身品(기신품)4己身品(기신품)5己身品(기신품)6己身品(기신품)7己身品(기신품)8己身品(기신품)9己身品(기신품)10🌿 기신품 1📜 원문 自愛身者 (자애신자)愼護所守 (신호소수)俙望欲解 (소망욕해)學正不寐 (학정불미)📝 한글 번역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은,자기 자신을 조심스럽게 지키며,올바른 해탈을 바라며,학문에 게으르지 않고 노력한다.💡 해설이 구절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보호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정진하고, 해탈을 향해 나아가는 길을 걸어야 한다는 교훈을 전달합니다.올바른 학문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며, 꾸준한 노력과 경계를 통해 스스로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