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원문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2025. 8. 26. 11:18
반응형

無量義經 十功德品 第三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원문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해설

 

爾時,大莊嚴菩薩摩訶薩復白佛言:
이시, 대장엄보살마하살 부백불언:
「世尊!世尊說是微妙甚深無上大乘《無量義經》,真實甚深!甚深甚深!
세존! 세존설시미묘심심무상대승 《무량의경》, 진실심심! 심심심심!
所以者何?於此眾中,諸菩薩摩訶薩及諸四眾,天、龍、鬼、神、國王、臣、民諸有眾生,
소이자하? 어차중중, 제보살마하살 급제사중, 천·룡·귀·신·국왕·신·민 제유중생,
聞是甚深無上大乘《無量義經》,無不獲得陀羅尼門、三法、四果、菩提之心。
문시심심무상대승 《무량의경》, 무불획득다라니문·삼법·사과·보리지심.
當知此經,文理真正,尊無過上,三世諸佛之所守護,
당지차경, 문리진정, 존무과상, 삼세제불지소수호,
無有眾魔群道得入,不為一切邪見生死之所壞敗。
무유중마군도득입, 불위일체사견생사지소괴패.
所以者何?一聞能持一切法故。若有眾生得聞是經,則為大利。」
소이자하? 일문능지일체법고. 약유중생득문시경, 즉위대리.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해설 우리말이야기

 

 

所以者何?若能修行,必得疾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소이자하? 약능수행, 필득질성 아뇩다라삼먁삼보리.
其有眾生不得聞者,當知是等為失大利,
기유중생 부득문자, 당지시등 위실대리,
過無量無邊不可思議阿僧祇劫,終不得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과무량무변 불가사의 아승지겁, 종부득성 아뇩다라삼먁삼보리.
所以者何?不知菩提大道直故,行於險徑,多留難故。
소이자하? 부지보리대도직고, 행어험경, 다유난고.
世尊!是經典者不可思議。唯願世尊廣為大眾慈哀,
세존! 시경전자 불가사의. 유원세존 광위대중 자애,
敷演是經甚深不思議事。
부연시경 심심불사의사.
世尊!是經典者,從何所來?去何所至?住何所住?
세존! 시경전자, 종하소래? 거하소지? 주하소주?
乃有如是無量功德不思議力,令眾疾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내유여시 무량공덕 불사의력, 영중질성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천수경 독경문(한문)

 

 

爾時,世尊告大莊嚴菩薩摩訶薩言:
이시, 세존 고 대장엄 보살 마하살 언:
「善哉!善哉!善男子!如是,如是,如汝所言。
선재! 선재! 선남자! 여시, 여시, 여여소언.
善男子!我說是經,甚深甚深!真實甚深!
선남자! 아설시경, 심심 심심! 진실 심심!
所以者何?令眾疾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故,
소이자하? 영중 질성 아뇩다라 삼먁삼보리 고,
一聞能持一切法故,於諸眾生大利益故,
일문 능지 일체법 고, 어제중생 대이익 고,
行大直道,無留難故。
행대직도, 무유난 고.
善男子!汝問是經從何所來、去至何所、住何所住者,
선남자! 여문시경 종하소래, 거지하소, 주하소주자,
當善諦聽。
당선제청.
善男子!是經本從諸佛宮宅中來,
선남자! 시경 본종 제불 궁택중래,
去至一切眾生發菩提心,住諸菩薩所行之處。
거지 일체 중생 발보리심, 주제보살 소행지처.
善男子!是經如是來、如是去、如是住。
선남자! 시경 여시래, 여시거, 여시주.
是故,此經能有如是無量功德不思議力,
시고, 차경 능유 여시 무량공덕 불사의력,
令眾疾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영중 질성 아뇩다라 삼먁삼보리.
善男子!汝寧欲聞,是經復有十不思議功德力不?」
선남자! 여녕욕문, 시경 부유 십불사의공덕력 부?
大莊嚴言:「願樂欲聞。」
대장엄언: 원락욕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

faithin.info-kidae.co.kr

 

佛言:
불언:
「善男子!第一,是經能令菩薩未發心者,發菩提心;
선남자! 제일, 시경 능령 보살 미발심자, 발보리심;
無慈仁者,起於慈心;
무사인자, 기어자심;
好殺戮者,起大悲心;
호살륙자, 기대비심;
生嫉妬者,起隨喜心;
생질투자, 기수희심;
有愛著者,起能捨心;
유애착자, 기능사심;
諸慳貪者,起布施心;
제간탐자, 기보시심;
多憍慢者,起持戒心;
다고만자, 기지계심;
瞋恚盛者,起忍辱心;
진에성자, 기인욕심;
生懈怠者,起精進心;
생해태자, 기정진심;
諸散亂者,起禪定心;
제산란자, 기선정심;
於愚癡者,起智慧心;
어우치자, 기지혜심;
未能度彼者,起度彼心;
미능도피자, 기도피심;
行十惡者,起十善心;
행십악자, 기십선심;
樂有為者,志無為心;
낙유위자, 지무위심;
有退心者,作不退心;
유퇴심자, 작불퇴심;
為有漏者,起無漏心;
위유루자, 기무루심;
多煩惱者,起除滅心。
다번뇌자, 기제멸심.

善男子!是名是經第一功德不思議力。」
선남자! 시명 시경 제일 공덕 불사의력.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第二,是經不可思議功德力者,
선남자! 제이,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有眾生得是經者,若一轉、若一偈、乃至一句,
약유 중생 득시경자, 약일전, 약일게, 내지 일구,
則能通達百千億義、無量數劫不能演說所受持法。
즉능 통달 백천억의, 무량수겁 불능 연설 소수지법.
所以者何?以其是法,義無量故。
소이자하? 이기시법, 의무량고.
善男子!是經,譬如從一種子生百千萬,
선남자! 시경, 비여 종일종자 생백천만,
百千萬中一一復生百千萬數,
백천만중 일일 복생 백천만수,
如是展轉,乃至無量;
여시 전전, 내지 무량;
是經典者,亦復如是,
시경전자, 역복 여시,
從於一法生百千義,百千義中一一復生百千萬數,
종어 일법 생백천의, 백천의중 일일 복생 백천만수,
如是展轉,乃至無量無邊之義。
여시 전전, 내지 무량무변지의.
是故,此經名無量義。
시고, 차경 명 무량의.
善男子!是名是經第二功德不思議力。」
선남자! 시명 시경 제이 공덕 불사의력.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降魔眞言) :항마진언 해설 바로가기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상구방 남자광명(壇上口放喃字光明) 소여무명 소적지신(燒汝無明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第三,
선남자! 제삼,
是經不可思議功德力者,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有眾生得聞是經,
약유 중생 득문 시경,
若一轉、若一偈、乃至一句,
약일전, 약일게, 내지 일구,
通達百千萬億義已,
통달 백천만억의이,
雖有煩惱,如無煩惱,
수유 번뇌, 여무 번뇌,
出生入死,無怖畏想,
출생 입사, 무포외상,
於諸眾生,生憐愍心,
어제 중생, 생연민심,
於一切法,得勇健想。
어일체법, 득용건상.
如壯力士能擔、能持諸有重者;
여장력사 능담, 능지 제유중자;
是持經人,亦復如是,
시지경인, 역복여시,
能荷無上菩提重寶,
능하 무상 보리 중보,
擔負眾生出生死道,
담부 중생 출생사도,
未能自度,已能度彼。
미능 자도, 이능 도피.
猶如船師身嬰重病,
유여 선사 신응 중병,
四體不御,安止此岸,
사지 불어, 안지 차안,
有好堅牢船舟,
유호 견라 선주,
常辦諸度彼者之具,
상판 제도 피자 지구,
給與而去;
급여 이거;
是持經者,亦復如是,
시지경자, 역복여시,
雖嬰五道諸有之身,
수응 오도 제유 지신,
百八重病常恒相纏,
백팔 중병 상항상전,
安止無明老死此岸,
안지 무명 노사 차안,
而有堅牢此大乘經無量義,
이유 견라 차 대승경 무량의,
辦能度眾生。
판능 도중생.
能如說行者,得度生死。
능여 설행자, 득도 생사.
善男子!是名是經第三功德不思議力。」
선남자! 시명 시경 제삼 공덕 불사의력.

 

항마진언 (降魔眞言) 해설

 

항마진언 (降魔眞言) 해설

항마진언 (降魔眞言) 해설 항마진언 독경문(한문) 보기 원문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상구방 남자광명(壇上口放喃字光明) 소여무명 소적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第四,
선남자! 제사,
是經不可思議功德力者,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有眾生得聞是經,
약유 중생 득문 시경,
若一轉、若一偈、乃至一句,
약일전, 약일게, 내지 일구,
得勇健想,
득 용건상,
雖未自度而能度他,
수 미자도 이 능 도타,
與諸菩薩以為眷屬,
여 제보살 이위 권속,
諸佛如來常向是人而演說法。
제불 여래 상향 시인 이 연설법.
是人聞已,悉能受持,
시인 문이, 실 능 수지,
隨順不逆,
수순 불역,
轉復為人隨宜廣說。
전복 위인 수의 광설.
善男子!
선남자!
是人譬如國王夫人新生王子,
시인 비여 국왕 부인 신생 왕자,
若一日、若二日、若至七日,
약일일, 약이일, 약지 칠일,
若一月、若二月、若至七月,
약일월, 약이월, 약지 칠월,
若一歲、若二歲、若至七歲,
약일세, 약이세, 약지 칠세,
雖復不能領理國事,
수복 불능 영리 국사,
已為臣民之所宗敬,
이위 신민 지 소 종경,
諸大王子以為伴侶,
제 대왕자 이위 반려,
王及夫人愛心偏重,常與共語。
왕 급 부인 애심 편중, 상 여 공어.
所以者何?
소이자하?
以稚小故。」
이치소고.

 

광명진언(光明眞言) 원문 해설

 

광명진언(光明眞言) 원문 해설

옴 아모가 바이로차나 마하무드라 마니 파드마 즈바라 프라바릍 타야 훔항마진언 독경문(한문) 원문:옴 아모가 바이로차나 마하무드라 마니 파드마 즈바라 프라바릍 타야 훔풀이1. 옴 (Om)모든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
선남자!
是持經者,亦復如是,
시지경자, 역복여시,
諸佛國王,
제불 국왕,
是經夫人,
시경 부인,
和合共生是菩薩子。
화합 공생 시 보살자.
若是菩薩得聞是經,
약시 보살 득문 시경,
若一句、若一偈,
약일구, 약일게,
若一轉、若二轉,
약일전, 약이전,
若十、若百、若千、若萬、若億萬億、
약십, 약백, 약천, 약만, 약억만억,
若恒河沙無量無數轉,
약항하사 무량 무수전,
雖復不能體真理極,
수복 불능 체 진리 극,
雖復不能震動三千大千國土,
수복 불능 진동 삼천 대천 국토,
雷震梵音,轉大法輪,
뇌진 범음, 전 대법륜,
已為一切四眾、八部之所宗仰,
이위 일체 사중, 팔부 지 소 종앙,
諸大菩薩以為眷屬,
제대 보살 이위 권속,
深入諸佛祕密之法,
심입 제불 비밀 지 법,
所可演說無違無失,
소가 연설 무위 무실,
常為諸佛之所護念,
상위 제불 지 소 호념,
慈愛偏覆,以新學故。
자애 편복, 이 신학 고.
善男子!
선남자!
是名是經第四功德不思議力。
시명 시경 제사 공덕 불사의력.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불교 의식 3가지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불교 의식 3가지

불교에서는 삶과 죽음, 공덕과 자비를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의식이 있지만,그중에서도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불교 의식 3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천수경 독경문(한문) 보러가기 🧘‍♂️ 꼭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
선남자!
第五,是經不可思議功德力者,
제오,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善男子、善女人,
약 선남자, 선여인,
若佛在世、若滅度後,
약 불 재세, 약 멸도 후,
其有受持、讀誦、書寫
기 유 수지, 독송, 서사,
如是甚深無上大乘《無量義經》,
여시 심심 무상 대승 《무량의경》,
是人雖復具縛煩惱,
시인 수복 구박 번뇌,
未能遠離諸凡夫事,
미능 원리 제 범부 사,
而能示現大菩提道,
이 능 시현 대보리 도,
延於一日以為百劫,
연 어 일일 이위 백겁,
百劫亦能促為一日,
백겁 역능 촉 위 일일,
令彼眾生歡喜信伏。
령 피 중생 환희 신복.
善男子!
선남자!
是善男子、善女人,
시 선남자, 선여인,
譬如龍子始生七日,
비여 용자 시생 칠일,
即能興雲,亦能降雨。
즉능 흥운, 역능 강우.
善男子!
선남자!
是名是經第五功德不思議力.
시명 시경 제오 공덕 불사의력.

 

수륙재란?

 

수륙재란?

🌊 수륙재란? 물과 육지의 모든 영혼을 위로하는 불교 최대 천도재 🙏불교의 대표적인 재의식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의미가 깊은 '수륙재(水陸齋)'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우리가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
선남자!
第六,是經不可思議功德力者,
제육,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善男子、善女人,
약 선남자, 선여인,
若佛在世、若滅度後,
약 불 재세, 약 멸도 후,
受持、讀誦是經典者,
수지, 독송 시경전자,
雖具煩惱而為眾生說法,
수구 번뇌 이 위 중생 설법,
令得遠離煩惱、生死,斷一切苦。
령득 원리 번뇌, 생사, 단 일체 고.
眾生聞已修行,
중생 문이 수행,
得法、得果、得道,
득법, 득과, 득도,
與佛如來等無差別。
여불 여래 등 무차별.
譬如王子雖復稚小,
비여 왕자 수복 치소,
若王遊巡及以疾病,
약 왕 유순 급 이 질병,
委是王子領理國事。
위 시 왕자 영리 국사.
王子是時,依大王命,
왕자 시시, 의 대왕명,
如法教令群寮百官,
여법 교령 군료 백관,
宣流正化,
선류 정화,
國土人民各隨其安,
국토 인민 각 수기 안,
如大王治等無有異。
여 대왕 치 등 무유 이.
持經善男子、善女人,亦復如是,
지경 선남자, 선여인, 역복 여시,
若佛在世、若滅度後,
약 불 재세, 약 멸도 후,
是善男子雖未得住初不動地,
시 선남자 수 미 득주 초부동지,
依佛如是用說教法而敷演之,
의 불 여시 용 설교법 이 부연지,
眾生聞已,一心修行,
중생 문이, 일심 수행,
斷除煩惱,得法、得果、乃至得道。
단제 번뇌, 득법, 득과, 내지 득도.
善男子!
선남자!
是名是經第六功德不思議力.
시명 시경 제육 공덕 불사의력.

 

천도재란? 영가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 천도의식

 

천도재란? 영가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 천도의식

🙏 천도재란? 영가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 천도의식 🌸불교에서 중요한 의식 중 하나인 천도재(薦度齋)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사람이 세상을 떠난 후, 남은 이들이 올리는 정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第七,是經不可思議功德力者,
선남자! 제칠,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善男子、善女人,於佛在世、若滅度後,得聞是經,歡喜信樂,
약선남자, 선여인, 어불재세, 약멸도후, 득문시경, 환희신락,
生希有心,受持、讀誦、書寫、解說,如法修行,
생희유심, 수지, 독송, 서사, 해설, 여법수행,
發菩提心,起諸善根,興大悲意,欲度一切苦惱眾生,
발보리심, 기제선근, 흥대비의, 욕도일체고뇌중생,
雖未修行六波羅蜜,六波羅蜜自然在前,
수미수행륙바라밀, 륙바라밀자연재전,
即於是身得無生忍,生死煩惱一時斷壞,
즉어시신득무생인, 생사번뇌일시단회,
即昇第七地與大菩薩位。
즉승제칠지여대보살위.
譬如健人為王除怨,怨既滅已,王大歡喜,賞賜半國之封,皆悉與之。
비여건인위왕제원, 원기멸이, 왕대환희, 상사반국지봉, 개실여지.
持經男子女人,亦復如是,於諸行人最為勇健,
지경남자여인, 역부여시, 어제행인최위용건,
六度法寶不求自至,生死怨敵自然散壞,
륙도법보불구자지, 생사원적자연산회,
證無生忍,半佛國寶封賞安樂。
증무생인, 반불국보봉상안락.
善男子!是名是經第七功德不思議力。
선남자! 시명시경제칠공덕불사의력.

 

백중재란? 조상과 영가를 위한 불교 천도재

 

백중재란? 조상과 영가를 위한 불교 천도재

🎇 음력 7월 15일, 백중재란? 조상과 영가를 위한 불교 천도재 🙏불교의 중요한 의식 중 하나인 '백중재'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매년 음력 7월 15일은 백중(百中) 또는우란분절(盂蘭盆節)로, 조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 第八,是經 不可思議 功德力者,
선남자! 제팔,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善男子、善女人,於佛在世、若滅度後,
약선남자, 선여인, 어불재세, 약멸도후,
有人能得是經典者,敬信如視佛身,令等無異,
유인능득시경전자, 경신여시불신, 영등무이,
愛樂是經,受持、讀誦、書寫、頂戴,
애락시경, 수지, 독송, 서사, 정대,
如法奉行,堅固戒忍,兼行檀度,深發慈悲,
여법봉행, 견고계인, 겸행단도, 심발자비,
以此無上大乘《無量義經》廣為人說。
이차무상대승 《무량의경》 광위인설.
若人先來都不信有罪福者,
약인선래도불신유죄복자,
以是經示之,設種種方便,強化令信,
이시경시지, 설종종방편, 강화영신,
以經威力故,發其人心,欻然得迴;
이경위력고, 발기인심, 홀연득회;
信心既發,勇猛精進故,
신심기발, 용맹정진고,
能得是經威德勢力,得道、得果。
능득시경위덕세력, 득도, 득과.
是故,善男子、善女人即於是身,
시고, 선남자, 선여인 즉어시신,
得無生法忍,得至上地,
득무생법인, 득지상지,
與諸菩薩以為眷屬,
여제보살이위권속,
速能成就眾生淨佛國土,
속능성취중생정불국토,
不久得成無上菩提。
불구득성무상보리.
善男子! 是名是經第八功德不思議力。
선남자! 시명시경제팔공덕불사의력.

 

오온으로 보는 ‘나’의 진실: 자아 해체 명상의 길

 

오온으로 보는 ‘나’의 진실: 자아 해체 명상의 길

🧩 오온 분석을 통한 자아 해체: ‘나’라는 환상을 깨다우리가 흔히 ‘나’라고 부르는 자아는 과연 무엇일까요?불교에서는 오온(五蘊)이라는 다섯 가지 요소의 조합일 뿐이라고 말합니다.즉,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 第九,是經 不可思議 功德力者,
선남자! 제구,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善男子、善女人,若佛在世及滅度後,
약선남자, 선여인, 약불재세급멸도후,
有得是經,歡喜踊躍得未曾有,
유득시경, 환희용약득미증유,
受持、讀誦、書寫、供養,廣為眾人分別、解說是經義者,
수지, 독송, 서사, 공양, 광위중인분별, 해설시경제자,
即得宿業餘罪、重障一時滅盡,便得清淨,
즉득숙업여죄, 중장일시멸진, 변득청정,
逮得大辯,次第莊嚴諸波羅蜜,
체득대변, 차제장엄제바라밀,
獲諸三昧、首楞嚴三昧,
획제삼매, 수령엄삼매,
入大總持門,得懃精進力,
입대총지문, 득근정진력,
速越上地,善能分身散體遍十方國,
속월상지, 선능분신산체편십방국,
拔濟一切二十五有極苦眾生,悉令解脫。
발제일체이십오유극고중생, 실령해탈.
是故,是經有如此力。
시고, 시경유여차력.
善男子!是名是經第九功德不思議力。
선남자! 시명시경제구공덕불사의력.

연기법이란? ‘나’는 실재하는가에 대한 불교의 대답

 

연기법이란? ‘나’는 실재하는가에 대한 불교의 대답

🔄 연기법이란?‘나’는 실재하는가에 대한 불교의 대답 🧘‍♂️💭우리 대부분은 ‘나’라는 존재를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하며 살아갑니다.하지만 불교는 전혀 다른 관점을 제시합니다.“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 第十,是經 不可思議 功德力者,
선남자! 제십, 시경 불가사의 공덕력자,
若善男子、善女人,若佛在世及滅度後,
약선남자, 선여인, 약불재세급멸도후,
若得是經發大歡喜,生希有心,
약득시경발대환희, 생희유심,
即自受持、讀誦、書寫、供養、如說修行,
즉자수지, 독송, 서사, 공양, 여설수행,
復能廣勸在家、出家人受持、讀誦、書寫、供養、解說、如法修行,
부능광권재가, 출가인 수지, 독송, 서사, 공양, 해설, 여법수행,
既令餘人修行,是經力故,得道、得果,
기령여인 수행, 시경력고, 득도, 득과,
皆由是善男子、善女人慈心懃化力故。
개유시 선남자, 선여인 자심근화력고.
是善男子、善女人, 即於是身便逮無量諸陀羅尼門,
시선남자, 선여인, 즉어시신 변체무량제타라니문,
於凡夫地自然初時,能發無數阿僧祇弘誓大願,
어범부지자연초시, 능발무수아승기홍서대원,
深能發救一切眾生,成就大悲,廣能救苦,
심능발구일체중생, 성취대비, 광능구고,
厚集善根,饒益一切,而演法澤,洪潤枯涸,
후집선근, 요익일체, 이연법택, 홍윤고학,
以眾法藥練諸眾生,安樂一切,漸見超登,
이중법약련제중생, 안락일체, 점견초등,
住法雲地,恩澤普潤,慈被無外,
주법운지, 은택보윤, 자피무외,
攝苦眾生,令入道迹。
섭고중생, 령입도적.
是故,此人不久得成阿耨多羅三藐三菩提。
시고, 차인 불구 득성 아녹다라삼먁삼보리.
善男子!是名是經第十功德不思議力。
선남자! 시명시경제십공덕불사의력.

 

팔정도 깊이 읽기: 올바른 삶의 8가지 길

 

팔정도 깊이 읽기: 올바른 삶의 8가지 길

🧘‍♂️ 팔정도 깊이 읽기: 올바른 삶의 8가지 길“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장 실질적인 가르침”불교의 가르침에서 사성제(四聖諦)가 고통의 원인과 해소를 설명했다면,그 해소 방법이 구

faithin.info-kidae.co.kr

 

 

善男子! 如是 無上大乘《無量義經》, 極有大威神之力,
선남자! 여시 무상대승《무량의경》, 극유대위신지력,
尊無過上, 能令諸凡夫皆成聖果, 永離生死而得自在。
존무과상, 능령제범부개성성과, 영리생사이득자재.
是故, 此經名無量義也。
시고, 차경명무량의야.
能令一切眾生於凡夫地, 生起諸菩薩無量道芽,
능령일체중생어범부지, 생기제보살무량도아,
令功德樹蔚茂、扶踈、增長。
령공덕수우무, 부호, 증장.
是故, 此經號十不可思議功德力也。
시고, 차경호십불가사의공덕력야.

 

사성제란 무엇인가: 불교 고통 해석의 핵심 원리

 

사성제란 무엇인가: 불교 고통 해석의 핵심 원리

고통을 끝내는 법, 사성제란 무엇인가?”사성제란 무엇인가: 불교 고통 해석의 핵심 원리 🧘‍♀️🔥 “고통은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이해할 수는 있다.”불교를 공부하거나 명상에 관심이 있

faithin.info-kidae.co.kr

 

 

於是,大莊嚴菩薩摩訶薩及八萬菩薩摩訶薩同聲白佛言:
어시, 대장엄보살마하살 및 팔만보살마하살 동성백불언:
「世尊!佛所說甚深微妙無上大乘《無量義經》,
세존! 불소설심심미묘무상대승《무량의경》,
文理真正,尊無過上,三世諸佛所共守護,
문리정진, 존무과상, 삼세제불소공수호,
無有眾魔群道得入,不為一切邪見生死之所壞敗。
무유중마군도득입, 불위일체사견생사지소회패.
是故,此經乃有如是十種功德不思議力,
시고, 차경내유여시십종공덕불사의력,
大饒益無量一切眾生,令一切諸菩薩摩訶薩各得無量義三昧,
대요익무량일체중생, 령일체제보살마하살 각득무량의삼매,
或得百千陀羅尼門,或令得菩薩諸地諸忍,或得緣覺、羅漢四道果證。
혹득백천타라니문, 혹령득보살제지제인, 혹득연각, 나한사도과증.
世尊慈愍,快為我等說如是法,
세존자민, 쾌위아등설여시법,
令我大獲法利,甚為奇特,未曾有也。
령아대획법리, 심위기특, 미증유야.
世尊慈恩,實難可報。」
세존자은, 실난가보.

옴 마니 반메 훔

 

옴 마니 반메 훔

"옴 마니 반메 훔" 불교에서 "옴 마니 반메 훔"은 매우 유명하고 중요한 만트라로,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담고 있으며, 자비, 치유, 정화의 강력한 에너지를 발산하는 기도문입니다. 이 만트라는 보

faithin.info-kidae.co.kr

 

 

爾時,三千大千世界六種震動,於上空中復雨種種華:
이시, 삼천대천세계 육종진동, 어상공중 부우종종화:
天憂鉢羅華、鉢曇摩華、拘物頭華、分陀利華;
천우발라화, 발담마화, 구물두화, 분타리화;
又雨無數種種天香、天衣、天瓔珞、天無價寶,
우우무수종종천향, 천의, 천영락, 천무가보,
於上空中旋轉來下,供養於佛及諸菩薩、聲聞大眾,
어상공중 선전래하, 공양어불급제보살, 성문대중,
天厨、天鉢器、天百味充滿盈溢,見色聞香,自然飽足,
천주, 천발기, 천백미 충만영일, 견색문향, 자연포족,
天幢、天幡、天幰蓋、天妙樂具處處安置,
천장, 천번, 천헌개, 천묘악구 처처안치,
作天伎樂,歌歎於佛;
작천기악, 가탄어불;
又復六種震動,東方恒河沙等諸佛世界,
우부육종진동, 동방항하사등제불세계,
亦雨天華、天香、天衣、天瓔珞、天無價寶,
역우천화, 천향, 천의, 천영락, 천무가보,
天厨、天鉢器、天百味,見色聞香,自然飽足,
천주, 천발기, 천백미, 견색문향, 자연포족,
天幢、天幡、天幰蓋、天妙樂具,作天伎樂,
천장, 천번, 천헌개, 천묘악구, 작천기악,
歌歎彼佛及諸菩薩、聲聞大眾,南、西、北方,四維上下,亦復如是。
가탄피불급제보살, 성문대중, 남, 서, 북방, 사유상하, 역부여시.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金剛般若波羅密經 금강반야바라밀경 法會因由分 第 一 법회유인분 제 1 如是我聞 여시아문 一時 佛 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 일시 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덕원 여대비

faithin.info-kidae.co.kr

 

 

爾時,佛告大莊嚴菩薩摩訶薩及八萬菩薩摩訶薩言:
이시, 불고 대장엄보살마하살 급 팔만보살마하살 언:
「汝等當於此經,應深起敬心,如法修行,廣化一切,
여등당어차경, 응심기경심, 여법수행, 광화일체,
懃心流布,常當慇懃晝夜守護,普令眾生各獲法利。
근심류포, 상당은근주야수호, 보령중생각획법리.
汝等真是大慈大悲,以立神通願力,守護是經,勿使疑滯,
여등진시대자대비, 이립신통원력, 수호시경, 물사의체,
於當來世必令廣行閻浮提,令一切眾生使得見聞、
어당래세필령광행염부제, 령일체중생사득견문,
讀誦、書寫、供養。以是之故,亦令汝等速得阿耨多羅
독송, 서서, 공급. 이시지고, 역령여등속득 아욕다라
三藐三菩提。」
삼묘삼보리.”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해설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해설

金剛般若波羅密經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해설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해설제1장 해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고,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faithin.info-kidae.co.kr

 

是時,大莊嚴菩薩摩訶薩與八萬菩薩摩訶薩即從坐起,
시시, 대장엄보살마하살 여 팔만 보살마하살 즉종좌기,
來詣佛所,頭面禮足,遶百千匝,
래예불소, 두면례족, 요백천잡,
即前胡跪,俱共同聲,白佛言:
즉전호궤, 구공동성, 백불언:
「世尊!我等快蒙世尊慈愍,為我等說是
세존! 아등쾌몽세존자민, 위아등설시
甚深微妙無上大乘《無量義經》。
심심미묘무상대승 《무량의경》.
敬受佛勅,於如來滅後,
경수불칙, 어여래멸후,
當廣令流布是經典者,
당광령유포시경전자,
普令一切受持、讀誦、書寫、供養。
보령일체 수지, 독송, 서사, 공양.
唯願世尊,勿垂憂慮。
유원세존, 물수우려.
我等當以願力,
아등당이원력,
普令一切眾生,使得見聞、
보령일체중생, 사득견문,
讀誦、書寫、供養,得是經法威神之力。」
독송, 서사, 공양, 득시경법위신지력.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원문과 전체 해석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원문과 전체 해석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원문과 전체 해석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한글 해석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한문 원문 觀自在菩薩,行深般

faithin.info-kidae.co.kr

 

爾時,佛讚言:「善哉!善哉!諸善男子!
이시, 불찬언: “선재! 선재! 제선남자!
汝等今者真是佛子,大慈大悲,
여등금자 진시불자, 대자대비,
深能拔苦救厄者矣。
심능발고구액자의.
一切眾生之良福田,
일체중생지 양복전,
廣為一切作大良導,
광위일체 작대양도,
一切眾生大依止處,
일체중생 대의지처,
一切眾生之大施主,
일체중생지 대시주,
常以法利廣施一切。」
상이법리 광시일체.”
爾時,大會皆大歡喜,為佛作禮,受持而去。
이시, 대회개대환희, 위불작례, 수지이거.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뜻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뜻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무슨뜻 일까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은 불교에서 자주 사용하는 염불(念佛)의 형태로, 각각의 단어는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분해해서 설명드리면 다음

faithin.info-kida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