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4

보회향진언(普廻向眞言)

보회향진언(普廻向眞言) 진언 뜻“모든 공덕과 복을 널리 두루 중생에게 회향하는 주문” 즉, 수행이나 염불, 참선 등에서 얻은 공덕을 자신만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존재와 나누고자 하는 자비의 마음과 뜻을 담은 진언입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의미와 활용불교 수행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회향’은 자신의 수행 결과를 세상의 모든 존재에게 이롭게 하고자 하는 마음입니다.보회향진언은 이러한 회향의 뜻을 담아 공덕을 널리 퍼뜨리는 의식이나 염불 중에 사용됩니다.이 진언을 통해 수행자는 자신의 선행과 공덕이 모두에게 미치기를 기원하며, 보시(나눔)와 자비심을 실천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

불교 경전 2025.10.08

답살무죄진언(踏殺無罪眞言)

답살무죄진언(踏殺無罪眞言) - 생명존중과 보호의 진언불교는 모든 생명을 존중하고 자비를 실천하는 가르침을 근간으로 합니다.특히 일상 속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들까지 보호하려는 마음가짐은 매우 중요합니다.그런 마음을 담은 답살무죄진언(踏殺無罪眞言)과 힘과 자비를 담은 옴 이제리니 사바하, 그리고 깨달음과 빛을 상징하는 옴 일디유리 사바하 진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답살무죄진언 (踏殺無罪眞言): 생명을 밟아도 죄가 없게 해주는 진언‘답살무죄진언’은 길을 걸을 때 부주의하게 작은 벌레나 개미 같은 생명을 밟더라도 죄업이 쌓이지 않도록 비는 주문입니다.불교 수행자들은 모든 생명에 대한 자비심을 기본으로 하지만, 현실적으로 길을 걷는 과정에서 작은 생명을 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

불교 경전 2025.10.07

행보불상충의주(行步不傷蟲蟻呪)

행보불상충의주(行步不傷蟲蟻呪) - 🦋 걸음마다 자비를 담다진언 구성옴 지리지리 사바하 천수경 독경문(한문) 🌿 생명 존중의 마음을 담은 진언불교에서 모든 생명은 소중하며,작은 벌레와 개미조차도 해치지 않도록 마음을 다지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러한 마음을 담은 진언이 바로 행보불상충의주 (行步不傷蟲蟻呪)입니다.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faithin.info-kidae.co.kr 🐜 행보불상충의주 (行步不傷蟲蟻呪)뜻: “걸어다닐 때 벌레와 개미를 해치지 않는 주문”해석:이 진언은 길을 걸을 때 보이지 않는 작..

불교 경전 2025.10.06

혜철수진언(慧徹修眞言)

혜철수진언(慧徹修眞言) 1. 진언 구성옴 나자바니 사바하 천수경 독경문(한문) 2. 의미 및 상징 혜철(慧徹): ‘지혜(慧)’가 ‘철저히 통한다(徹)’ 혹은 ‘통달한다’는 뜻이므로, 깊은 지혜가 완전히 드러나는 것 또는 지혜로 완성된 수행을 의미할 가능성이 큼.수(修): ‘수행함’이라는 뜻이니까, 지혜를 단순히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것만이 아니라 실제 수행을 통해 체득하고 삶 속에서 드러내려는 결심과 노력을 포함함.혜철수진언은 지혜를 철저히 수행함을 기원하는 주문이고, 수행자가 지혜의 빛으로 마음을 밝히고 번뇌를 꿰뚫기를 바라는 수행적 염원으로 보여집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

불교 경전 2025.10.05

정결도진언(定決道眞言)

정결도진언(定決道眞言) 진언 구성 옴 합부리 사바하 📌 정결도진언이란?정결도(定決道)는 마음을 안정시켜 결단한 수행의 길을 의미합니다.정결도진언은 불공이나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신체와 마음, 공간을 정화하는 진언으로 많이 사용됩니다.사찰에서도 예불 전이나 불단 앞에서 자주 염송하며, 불보살을 맞이할 준비를 할 때 사용되죠.✅ 전체 의미 (의역)“모든 부정함을 없애고 청정한 수행의 길이 열리기를 바랍니다. 이 발원이 이루어지기를.” “부정함을 깨끗이 씻어내고, 맑고 고요한 마음으로 수행의 길에 들게 하소서.”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

불교 경전 2025.10.04

계장진언(戒藏眞言)

계장진언(戒藏眞言)진언 구성“옴 흐리부니 사바하”📌 계장진언이란?“계장(戒藏)”이란 말 그대로 계율의 보배창고, 즉 부처님이 설하신 계율의 진리와 가르침을 뜻합니다.계장진언은 이 계율을 보호·지키고, 계율을 범한 죄를 참회하거나 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언입니다.계율을 지키는 힘을 얻고, 계행(戒行)을 회복하고자 할 때 염송됩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 전체 해석 (의역)“저는 계율을 어긴 것을 부끄러워하고 참회하며, 계행을 회복하겠습니다. 이 발원이 온전히 성취되기를 바랍니다.” “계율을 지키는 마음을 일으키고, 어긴 죄를 참회하여 정화되기를 기원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

불교 경전 2025.10.03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 스님들의 세 가지 승(乘)을 기리는 진언불교 수행에서 진언은 마음을 정화하고 불법(佛法)을 기억하며 중생의 고통을 덜어 주는 중요한 수행의 도구입니다.그중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은 ‘삼승(三乘)’을 기리는 주문으로, 스님 혹은 승려의 길, 불제자 수행자의 길에 대한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승삼승”이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세 가지 승의 길’을 뜻하는데, 보통 법승(法乘)·열반승·보살승 또는 성문·연각·보살 등의 구도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진언 형태옴 수탄복다예 사바하의미와 상징승삼승진언은 다음과 같은 의미와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삼승에 대한 귀의와 발원수행자가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등의 세 길(三乘)의 가르침과 길을 존중하고 본받..

불교 경전 2025.10.02

법삼장진언(法三藏眞言)

법삼장진언(法三藏眞言) 법삼장진언(法三藏眞言)은 불교에서 중요한 진언 중 하나로, '법장삼장(法藏三藏)' 또는 '법장진언'이라고도 불립니다.이 진언은 각 의미와 수행의 목적을 담고 있습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 법삼장진언의 구성과 의미"옴 불모규라헤 사바하" 🔑 전체 의미“옴, 부처님의 법신과 가피가 내게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이 염원이 온전히 성취되기를 기원합니다.” 법삼장진언은 부처님의 세 가지 보신(법신, 보신, 화신)과 관련된 수행에서 쓰이며,부처님의 자비와 진리의 힘을 받아 깨달음과 보호를 기원하는 진언입니다.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

불교 경전 2025.10.01

불삼신진언(佛三身眞言)

🕉️ 불삼신진언(佛三身眞言)불교 수행에서 진언(陀羅尼)은 마음을 집중시키고, 부처님의 가피를 받기 위한 중요한 도구입니다.그 중에서도 불삼신진언,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한 수행에 사용됩니다.이 진언은 짧지만 강력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 많은 불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불삼신진언의 구성과 의미🧘‍♂️ "옴 호철모니 사바하"🔑 전체 의미“옴, 석가모니 부처님께 귀의하며, 이 염원이 온전히 성취되기를 바랍니다.” 즉, 이 진언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존경하고 귀의하는 마음을 담은 짧고 강력한 수행 진언입니다.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

불교 경전 2025.09.30

선망부모왕생정토진언(先亡父母往生淨土眞言)

선망부모왕생정토진언(先亡父母往生淨土眞言)돌아가신 부모님 조상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주문선망부모왕생정토진언(先亡父母往生淨土眞言)은돌아가신 부모님이나 조상님이 아미타불이 계신 극락정토(淨土)에 태어나시길 바라는 염원과 공경의 마음을 담은 주문입니다.부모 은혜와 조상 공경이 한국 불교에서 중요한 덕목인 만큼, 이 진언도 많은 불자들이 수행이나 제사, 기도 의식에서 사용합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진언 형태"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숫제유리 사바하​" 의미와 상징선망(先亡): 이미 죽은 부모님이나 조상님부모왕생(父母往生): 부모님이 극락정토(정토, 아미타불이 주재하는 서방정토)에 태어나시기를 기원하는 것정토(淨土): 번뇌가 없고 고통도 없는 불국토, 특별히 아미타불이 설하신 정토를 의미이 진언을 외우는 것..

불교 경전 2025.09.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