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4

신묘장구대다라니 해석

신묘장구대다라니 천수경 독경문(한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해석 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가리 다바 이맘알야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모든 부처님과 보살님들께 귀의합니다. 관세음보살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예배합니다. 위대한 자비와 지혜를 지닌 관세음보살님, 그 신통력과 공덕을 찬탄합니다. 온갖 두려움을 없애 주시고, 모든 장애를 없애 주시는 위대한 존재께 절합니다. 모든 존재를 굽어보시는(관세음보살의) 위대한 자비의 거룩한 분께 귀의합니다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

불교 경전 2025.09.18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가리 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옘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 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 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 미연제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

불교 경전 2025.09.17

보례진언(普禮眞言)이란?

📿 보례진언(普禮眞言)이란?보례(普禮): ‘두루 예배하다’, ‘모든 부처님께 예를 올리다’는 뜻진언(眞言): 진리를 담은 신성한 주문을 의미보례진언은 곧 “일체의 부처님과 보살님들께 예를 올리는 진언”,즉 모든 성스러운 존재들에게 존경과 공경을 표하는 주문입니다. 🙏 천수경 독경문(한문) 보례진언 독송문📌 보례진언은 언제 사용하나요?보례진언은 불교 의식에서 다음과 같은 때에 사용됩니다:예불 전후: 부처님과 모든 성현께 예를 올리기 위해수행 시작 시: 공손한 마음으로 수행의 시작을 알릴 때불상 앞 공양 시: 향을 피우거나 합장하면서 부처님께 예를 올릴 때이 진언을 통해 겸손한 마음, 감사의 마음, 귀의의 자세를 갖추게 됩니다.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

불교 이론 2025.09.16

정삼업진언(正三業眞言)이란?

정삼업진언(正三業眞言)이란?정삼업(正三業)은 불교에서 말하는 “바른 세 가지 행위”를 뜻합니다.여기서 ‘삼업(三業)’은 신업(身業, 몸으로 하는 행위), 구업(口業, 말로 하는 행위), 의업(意業, 마음으로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정(正)’은 올바름을 뜻하며, ‘진언(眞言)’은 불교에서 수행이나 의식 때 외우는 주문, 경전의 문구 등을 뜻합니다.즉, 정삼업진언은 바른 몸, 말, 마음의 행위를 강조하는 수행 진언이나 주문입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정삼업진언 독송문삼업(三業)이란?신업(身業, 몸의 행위)우리의 몸으로 하는 모든 행동살생하지 않기, 도둑질 하지 않기 등 도덕적 행위를 포함구업(口業, 말의 행위)말로 하는 모든 행위거짓말 하지 않기, 험담하지 않기, 악담하지 않기 등의업(意業, 마음의 행위..

불교 경전 2025.09.15

불설아미타경 기도발원문

불설아미타경 기도발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 기도발원문삼계도사요 사생자부이신 시아본사 석가모니 부처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예경하옵니다. 서방극락정토의 주재자이신 무량수 여래불 아미타 부처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예경하옵니다. 대자재비하신 천수천안 관세음보살마하살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예경하옵니다. 대자대비하신 무변광 무상력 대세지보살 마하살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예경하옵니다. 대자대비하신 만분이엄신 청정대해중보살 마하살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예경하옵니다. ​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kida..

불교 경전 2025.09.14

삼귀의계(三歸依戒)란?

삼귀의계(三歸依戒)란?삼귀의계는 불교 신자들이 수행과 신앙생활의 출발점으로 삼는 세 가지 귀의 대상과 그에 따른 계율을 말합니다.삼귀의(三歸依): 부처님, 법(부처님의 가르침), 승(승가, 수행 공동체) 세 보살핌에 의지한다는 서원계(戒): 바른 삶과 수행을 위해 지켜야 하는 도덕적 규범즉, 부처님과 그의 가르침, 그리고 수행 공동체에 귀의하며, 계율을 지켜 수행하겠다는 다짐입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삼귀의(三歸依) - 세 가지 귀의 대상부처님(佛)깨달음을 얻은 스승, 삶과 수행의 본보기이자 신앙의 중심▶ 부처님께 귀의한다는 것은 부처님의 깨달음과 지혜에 의지하겠다는 뜻입니다.법(法)부처님의 가르침과 진리, 진리를 깨닫는 길▶ 법에 귀의한다는 것은 불교 경전과 수행법을 따르며 진리를 배우겠다는 뜻입니..

불교 이론 2025.09.13

오분향게(五分香偈)

오분향게(五分香偈)란?불교 예불의 다섯 향기와 그 의미 ✨ 불교 예불에서 부처님께 향을 올릴 때 외우는 오분향게(五分香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분향게는 다섯 가지 향기를 상징하는 의식문으로,수행자의 마음가짐과 덕목을 담아 부처님께 공양하는 중요한 게송입니다.그럼 오분향게의 구성과 의미, 그리고 수행과의 연관성까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 오분향게의 역할과 중요성 오분향게란?오분향게는 불교 예불 의식에서 다섯 가지 향(五分香)을 부처님께 올리며 외우는 게송입니다.계향(戒香)정향(定香)혜향(慧香)해탈향(解脫香)해탈지견향(解脫知見香)각각은 불교 수행의 다섯 가지 덕목을 상징합니다.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

불교 이론 2025.09.12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진리의 세계를 청정하게 만드는 주문 천수경 독경문(한문)원문나자색선백 공점이엄지 羅字色鮮白 空點以嚴之 여피계명주 치지어정상 如彼髮明珠 置之於頂上 진언동법계 무량중죄제 眞言同法界 無量衆罪除 일체촉예처 당가차자문 一切觸礙處 當加此字門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kidae.co.kr 직역그물처럼 배열된 글자가 선명한 흰색으로, 공의 점으로 이를 엄숙하게 장식하다. 그것은 마치 머리 위에 두는 밝은 보석처럼. 진언은 법계와 같고, 무량한 중생의 죄를 없앤다. 모든 장애가 있는 ..

불교 경전 2025.09.11

발사홍서원(發四弘誓願)

발사홍서원(發四弘誓願)(네 가지 큰 다짐) 천수경 독경문(한문)원문 중생무변 서원도衆生無邊 誓願度번뇌무진 서원단煩惱無盡 誓願斷자성불도 서원성自性佛道 誓願成발원이 귀명제삼보發願已 諦命禮三寶나무상주 시방불南無常住 十方佛나무상주 시방법南無常住 十方法나무상주 시방승南無常住 十方僧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kidae.co.kr 정삼업진언淨三業眞言옴 사바바바 수다살바 달마 사바바바 수도함옴 사바바바 수다살바 달마 사바바바 수도함옴 사바바바 수다살바 달마 사바바바 수도함개단진언開壇眞言옴 바아라 놔아로 ..

불교 경전 2025.09.10

참회진언(懺悔眞言)

참회진언(懺悔眞言) 천수경 독경문(한문) 독송문준제공덕취准提功德聚정획무등등定獲無等等남무 칠구변南無 七俱胝불모 대준제보살佛母 大准提菩薩불모 대준제보살佛母 大准提菩薩불모 대준제보살佛母 大准提菩薩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kidae.co.kr 해설준제공덕취 准提功德聚 준제보살의 공덕이 모인 곳 적정심상송 寂靜心常誦 고요한 마음을 지니고 늘 진언을 외웁니다. 일체제대난 一切諸大難 온갖 크고 심각한 재난과 고난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항마진언 (降魔眞言) :항마진언 해설 ..

불교 경전 2025.09.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