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

준제진언 독경문

준제진언 독경문 천수경 독경문(한문) 전문독경문(한문) 准提眞言 준제진언 나무사다남 삼먁 삼못다 구치남 다냐타 옴 자례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옴 자례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옴 자례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我今持誦大准提 卽發菩提廣大願 願我定慧速圓明 아금지송대준제 즉발보리광대원 원아정혜속원명 願我功德皆成就願我勝福遍莊嚴 願共衆生成佛道 원아공덕개성취 원아승복변장엄 원공중생성불도 천수경 독경문(한글) 전문 독경문(한글) 준제진언 (준제보살의 발원) 나무 사다남 삼먁삼못다 구치남 다냐타 옴 자례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나무 사다남 삼먁삼못다 구치남 다냐타 옴 자례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나무 사다남 삼먁삼못다 구치남 다냐타 옴 자례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제가이제 준제주를 지송하오니 보리심을 발하오며 큰원세우고 선정지..

불교 경전 2025.08.31

참회진언 독경문

참회진언 독경문 천수경 독경문(한문) 전문독경문 (한문) 懺悔眞言 참회진언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准提功德聚 寂靜心常誦 一切諸大難 無能侵是人 준제공덕취 적정심상송 일체제대난 무능침시인 天上及人間受福如佛等 遇此如意珠 定獲無等等 천상급인간 수복여불등 우차여의주 정획무등등 南無七俱肢佛母大准提菩薩 나무칠구지불모대준제보살 나무칠구지불모대준제보살 나무칠구지불모대준제보살 천수경 독경문(한글) 전문 독경문 (한글) 참회진언 (죄업을 뉘우치는 진언)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준제주는 모든공덕 보고이어라 고요한 마음으로 항상외우면 이세상 온갖재난 침범못하리 하늘이나 사람이나..

불교 경전 2025.08.30

개경게 개법장진언

개경게 개법장진언 천수경 독경문(한문) 전문독경문(한문)開經偈 개경게 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隅 我今聞見得修持願解如來眞實義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화엄경 약찬게 독송문 (한문) 화엄경 약찬게 독송문 (한문)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대방광불화엄경 용수보살약찬게 大方廣佛華嚴經 龍樹菩薩略纂偈 화엄경 약찬게 해설 보러가기 나무화장세계해 비로자나진법신 南無華藏世界海 毘盧遮那眞法faithin.info-kidae.co.kr 開法藏眞言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千手千眼觀自在菩薩 廣大圓滿無碍大悲心大陀羅尼 啓請 천수천안관자재보살 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 계청 稽首觀音大悲呪 願力弘深相好身 千臂莊嚴普護持 千眼光明便觀照 계수관음대비주 원력홍심상호..

불교 경전 2025.08.29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해설 우리말이야기

無量義經 十功德品 第三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해설 우리말이야기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원문 그때, **대장엄 보살 마하살(큰 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 지금 설하신 이 **미묘하고도 깊은 무상의 대승경전 《무량의경》**은 진실로 너무나도 깊습니다! 너무 깊고 또 깊습니다! 그 까닭은 무엇이겠습니까? 이 자리에 모인 모든 보살 마하살들과 사중(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그리고 하늘, 용, 귀신, 신(神), 왕, 신하, 백성 등 모든 중생들이 이 **깊고도 뛰어난 무상대승 《무량의경》**을 들으면, 누구나 빠짐없이 **다라니문, 삼법(三法), 사과(四果), 보리심(깨달음의 마음)**을 얻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경은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그 문장과 이치는 진실하..

불교 경전 2025.08.28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해설

無量義經 十功德品 第三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원문 📖爾時,大莊嚴菩薩摩訶薩復白佛言: 이시, 대장엄보살마하살 부백불언: 「世尊!世尊說是微妙甚深無上大乘《無量義經》,真實甚深!甚深甚深! 세존! 세존설시미묘심심무상대승 《무량의경》, 진실심심! 심심심심! 所以者何?於此眾中,諸菩薩摩訶薩及諸四眾,天、龍、鬼、神、國王、臣、民諸有眾生, 소이자하? 어차중중, 제보살마하살 급제사중, 천·룡·귀·신·국왕·신·민 제유중생, 聞是甚深無上大乘《無量義經》,無不獲得陀羅尼門、三法、四果、菩提之心。 문시심심무상대승 《무량의경》, 무불획득다라니문·삼법·사과·보리지심. 當知此經,文理真正,尊無過上,三世諸佛之所守護, 당지차경, 문리진정, 존무과상, 삼세제불지소수호, 無有眾魔群道得入,不為一切邪見生死之所壞敗。 무유중마군도득입, ..

불교 경전 2025.08.27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원문

無量義經 十功德品 第三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 무량의경 십공덕품 제삼-해설 爾時,大莊嚴菩薩摩訶薩復白佛言: 이시, 대장엄보살마하살 부백불언: 「世尊!世尊說是微妙甚深無上大乘《無量義經》,真實甚深!甚深甚深! 세존! 세존설시미묘심심무상대승 《무량의경》, 진실심심! 심심심심! 所以者何?於此眾中,諸菩薩摩訶薩及諸四眾,天、龍、鬼、神、國王、臣、民諸有眾生, 소이자하? 어차중중, 제보살마하살 급제사중, 천·룡·귀·신·국왕·신·민 제유중생, 聞是甚深無上大乘《無量義經》,無不獲得陀羅尼門、三法、四果、菩提之心。 문시심심무상대승 《무량의경》, 무불획득다라니문·삼법·사과·보리지심. 當知此經,文理真正,尊無過上,三世諸佛之所守護, 당지차경, 문리진정, 존무과상, 삼세제불지소수호, 無有眾魔群道得入,不為一切邪見生死之所壞敗。 무유중마군도득입, 불..

불교 경전 2025.08.26

무량의경 설법품 제이-해설 우리말이야기

無量義經 說法品 第二 무량의경 설법품 제이-해설 우리말이야기 무량의경 설법품 제이-원문 그 때, 대장엄 보살 마하살은 팔만 명의 보살 마하살들과 함께 이 게송을 말하여 부처님을 찬탄한 뒤, 함께 부처님께 이렇게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희 팔만 명의 보살 대중은 지금 여래의 가르침 가운데 여쭐 것이 있습니다. 자비를 베푸시어 저희의 질문을 들어주시겠습니까?” 그러자 부처님께서 대장엄 보살과 팔만 명의 보살들에게 말씀하셨다: “좋도다! 좋도다! 착한 남자들이여! 지금이 바로 좋은 때이니, 너희들 마음껏 물으라. 여래는 머지않아 열반에 들 것이다. 열반 이후에는 모두가 더 이상 의심이 없도록 하리라. 무엇을 묻고 싶은지 말해 보아라. 이제 말해도 좋다.” 무량의경 설법품 제이-해설 그 때, 대장엄 보살은 ..

불교 경전 2025.08.25

무량의경 설법품 제이-해설

無量義經 說法品 第二 무량의경 설법품 제이 천수경 독경문(한문)📖爾時,大莊嚴菩薩摩訶薩與八萬菩薩摩訶薩說是偈讚佛已,俱白佛言:이시, 대장엄 보살 마하살 여 팔만 보살 마하살 설시게 찬불이, 구백 불언:「世尊!我等八萬菩薩之眾,今者欲於如來法中有所諮問,不審世尊垂愍聽不?」세존! 아등 팔만 보살지 중, 금자 욕어 여래 법중 유소 자문, 불심 세존 수민 청부?佛告大莊嚴菩薩及八萬菩薩言:불고 대장엄 보살 급 팔만 보살언:「善哉!善哉!善男子!善知是時,恣汝所問。선재! 선재! 선남자! 선지 시시, 자여 소문.如來不久當般涅槃,涅槃之後,普令一切無復餘疑。여래 불구 당반 열반, 열반지 후, 보령 일체 무복 여의.欲何所問,便可說也。」욕하 소문, 편가 설야.📖 원문 爾時, 大莊嚴菩薩摩訶薩與八萬菩薩摩訶薩說是偈讚佛已, 俱白佛言: 「世尊!..

불교 경전 2025.08.24

무량의경 설법품 제이-원문

無量義經說法品第二 무량의경설법품제이 천수경 독경문(한문) 爾時,大莊嚴菩薩摩訶薩與八萬菩薩摩訶薩說是偈讚佛已,俱白佛言: 이시, 대장엄 보살 마하살 여 팔만 보살 마하살 설시게 찬불이, 구백 불언: 「世尊!我等八萬菩薩之眾,今者欲於如來法中有所諮問,不審世尊垂愍聽不?」 세존! 아등 팔만 보살지 중, 금자 욕어 여래 법중 유소 자문, 불심 세존 수민 청부? 佛告大莊嚴菩薩及八萬菩薩言: 불고 대장엄 보살 급 팔만 보살언: 「善哉!善哉!善男子!善知是時,恣汝所問。 선재! 선재! 선남자! 선지 시시, 자여 소문. 如來不久當般涅槃,涅槃之後,普令一切無復餘疑。 여래 불구 당반 열반, 열반지 후, 보령 일체 무복 여의. 欲何所問,便可說也。」 욕하 소문, 편가 설야. 무량의경 설법품 제이-해설 바로가기於是,大莊嚴菩薩與八萬菩薩即共同聲,白..

불교 경전 2025.08.23

무량의경 덕행품 제일-해설 우리말이야기

無量義經 德行品 第一 해설 우리말이야기무량의경 덕행품 제일 무량의경덕행품제일-원문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王舍城)의 기원정사(耆闍崛山)**에 계셨다. 그때에 12,000명의 대비구(큰 수행자) 대중이 함께 있었고, **8만 명의 대보살(菩薩摩訶薩)**이 함께하였다. 또한, 하늘(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伽) 등 여러 신들과,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출가·재가 남녀 신도)**도 함께하였다. 그리고 대전륜왕, 소전륜왕, 금륜왕, 은륜왕 등 여러 전륜성왕, 각국의 **국왕, 왕자, 대신, 백성, 사대부, 귀족 여자, 장자(長者, 부자·유지)**들도 각기 자신의 **수많은..

불교 경전 2025.08.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