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법구경

愚闇品(우암품)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2025. 5. 7. 08:46
반응형

愚闇品(우암품)

 

우암품 (愚闇品)
어리석은 사람은 스스로를 지혜로운 사람으로 여긴다. 그러나 진정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잘못된 길을 가르치지 않는다.

愚闇品(우암품)1 愚闇品(우암품)2
愚闇品(우암품)3 愚闇品(우암품)4
愚闇品(우암품)5 愚闇品(우암품)6
愚闇品(우암품)7 愚闇品(우암품)8
愚闇品(우암품)9 愚闇品(우암품)10
愚闇品(우암품)11 愚闇品(우암품)12
愚闇品(우암품)13 愚闇品(우암품)14
愚闇品(우암품)15 愚闇品(우암품)16

 

🌿 우암품 1

📜 원문 (한자음)

不寐夜長 (불매야장)
疲惓道長 (피한도장)
愚生死長 (우생사장)
幕知政法 (막지정법)

📝 한글 번역

잠을 자지 못해 밤이 길고,
길고 험한 도정을 걸으며,
무지한 자는 죽음에 이르는 길이 길어지고,
정법을 알지 못하면 고통이 길어집니다.

💡 해설

무지한 삶은 결국 고통과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정법을 알지 못하고 살아가면 길고 험한 인생을 살아가게 됩니다.
이 구절은 지혜를 깨닫고, 정법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해줍니다.


🌿 우암품 2

📜 원문 (한자음)

學無朋類 (학무붕류)
不得善友 (부득선우)
寧獨守善 (영독수선)
不與愚偕 (불여우해)

📝 한글 번역

학문에 벗이 없으면,
좋은 친구를 얻지 못한다면,
차라리 혼자서라도 선을 지키는 것이 낫습니다.
어리석은 자와 함께하지 마십시오.

💡 해설

좋은 친구를 얻지 못한 상황에서는 차라리 혼자서라도 올바른 길을 가는 것이 낫습니다.
어리석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면, 그들의 무지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처님은 선한 사람들과의 교제를 통해 바른 길을 걸으라고 가르칩니다.


雙叙品(쌍서품)

 

雙叙品(쌍서품)

雙叙品(쌍서품)1雙叙品(쌍서품)2雙叙品(쌍서품)3雙叙品(쌍서품)4雙叙品(쌍서품)5雙叙品(쌍서품)6雙叙品(쌍서품)7雙叙品(쌍서품)8雙叙品(쌍서품)9雙叙品(쌍서품)10雙叙品(쌍서품)11雙叙品(쌍서품)12

faithin.info-kidae.co.kr

 

🌿 우암품 3

📜 원문 (한자음)

有子有財 (유자유재)
愚惟汲汲 (우유급급)
我且非我 (아차비아)
何憂子財 (하우자재)

📝 한글 번역

자식과 재물이 있으면,
어리석은 자는 그것을 얻기 위해 애쓰고,
하지만 나는 내가 아닌 것에 집착하며,
자식과 재물에 대해 걱정할 이유가 없습니다.

💡 해설

자식과 재물에 대한 집착은 결국 무의미하고,
이 세상에서 진정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과의 화합입니다.
부처님은 자아를 넘어서서 본질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십니다.


🌿 우암품 4

📜 원문 (한자음)

愚者自稱愚 (우자자칭우)
常知善黠慧 (상지선할혜)
愚人自稱智 (우인자칭지)
是謂愚中甚 (시위우중심)

📝 한글 번역

어리석은 자는 스스로 어리석다고 자처하며,
항상 선하고 지혜로운 사람을 알지만,
어리석은 사람은 스스로 지혜롭다고 자처하며,
이것이 바로 어리석음 중의 가장 큰 어리석음입니다.

💡 해설

어리석은 자가 스스로 어리석다고 인식할 때는 아직 개선할 여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리석은 사람이 스스로 지혜롭다고 착각할 때, 그 어리석음은 극에 달합니다.
부처님은 자아를 정확히 아는 것과 진정한 지혜를 가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십니다.

 

 

放逸品(방일품)

 

放逸品(방일품)

放逸品(방일품)1放逸品(방일품)2放逸品(방일품)3放逸品(방일품)4放逸品(방일품)5放逸品(방일품)6放逸品(방일품)7放逸品(방일품)8放逸品(방일품)9放逸品(방일품)10放逸品(방일품)11放逸品(방일품)12

faithin.info-kidae.co.kr

 

🌿 우암품 5

📜 원문 (한자음)

愚人盡形壽 (우인진형수)
承事明智人 (승사명지인)
亦不知眞法 (역불지진법)
如杓斟酌食 (여소진작식)

📝 한글 번역

어리석은 자는 일생을 마쳐도,
밝은 지혜를 가진 사람을 섬기며,
진정한 법을 알지 못합니다.
이는 마치 국자에 음식을 떠 넣는 것과 같습니다.

💡 해설

어리석은 사람은 평생을 살아도 진리를 알지 못하고,
지혜로운 사람과 함께 있더라도 그 법을 깨닫지 못합니다.
이 구절은 지혜를 얻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스승과 함께 있어도 그 의미를 알 수 없다는 교훈을 줍니다.


🌿 우암품 6

📜 원문 (한자음)

智者須臾間 (지자수유간)
承事賢聖人 (승사현성인)
一一知眞法 (일일지진법)
如舌了衆味 (여설료중미)

📝 한글 번역

지혜로운 자는 잠시 사이에,
현명한 성스러운 사람을 섬기며,
하나하나 진법을 알게 됩니다.
이는 마치 혀로 여러 가지 맛을 아는 것과 같습니다.

💡 해설

지혜로운 사람은 진리와 깨달음을 빠르게 깨닫습니다.
그들은 현명한 스승에게서 진리의 가르침을 얻고,
이는 혀가 여러 가지 맛을 구별할 수 있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心意品(심의품)

 

心意品(심의품)

心意品(심의품)1心意品(심의품)2心意品(심의품)3心意品(심의품)4心意品(심의품)5心意品(심의품)6心意品(심의품)7心意品(심의품)8心意品(심의품)9心意品(심의품)10心意品(심의품)11 심의품 1원문心

faithin.info-kidae.co.kr

 

🌿 우암품 7

📜 원문 (한자음)

愚人施行 (우인시행)
爲身招患 (위신초환)
快心作惡 (쾌심작악)
自致重殃 (자치중앙)

📝 한글 번역

어리석은 자는 행동하여,
자신에게 괴로움을 초래하고,
마음의 즐거움으로 악행을 저지르며,
결국 자신에게 큰 재앙을 불러옵니다.

💡 해설

어리석은 사람은 자신의 악행이 자신에게 돌아올 것임을 알지 못하고,
자기 욕망을 채우기 위해 악을 행합니다.
결국 이러한 행동은 자신에게 큰 고통과 재앙을 가져온다는 교훈을 줍니다.


🌿 우암품 8

📜 원문 (한자음)

行爲不善 (행위불선)
退見悔悋 (퇴견회림)
致涕流面 (치체유면)
報由宿習 (보유숙습)

📝 한글 번역

불선한 행동을 하고,
후회와 반성을 하여,
눈물을 흘리며,
그 결과는 과거의 습관에서 비롯됩니다.

💡 해설

불선한 행동을 한 후에는 후회와 반성이 따르지만,
그 후회가 눈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구절은 과거의 나쁜 습관이 결과적으로 후회와 고통을 초래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花香品(화향품)

 

花香品(화향품)

花香品(화향품)1花香品(화향품)2花香品(화향품)3花香品(화향품)4 花香品(화향품)5 花香品(화향품)6 花香品(화향품)7 花香品(화향품)8 花香品(화향품)9 花香品(화향품)10 花香品(화향품)11 花香品(화

faithin.info-kidae.co.kr

 

🌿 우암품 9

📜 원문 (한자음)

行爲德善 (행위덕선)
進覩歡喜 (진도환희)
應來受福 (응래수복)
喜笑悅習 (희소열습)

📝 한글 번역

덕과 선한 행동을 하면,
앞으로 다가올 복을 보고 기쁨을 느끼며,
그 기쁨을 받아들이고,
웃음과 즐거움으로 습관을 기릅니다.

💡 해설

선한 행동을 하며 살아가면, 그 결과로 기쁨과 복이 다가옵니다.
이 기쁨은 단순한 감정에 그치지 않고, 습관으로 몸에 배게 됩니다.
부처님은 우리가 선을 행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좋은 결과를 얻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 우암품 10

📜 원문 (한자음)

過罪未熟 (과죄미숙)
愚以恬淡 (우이렴담)
至基熟時 (지기숙시)
自受大罪 (자수대죄)

📝 한글 번역

과거의 죄가 아직 익지 않았을 때,
어리석은 자는 이를 담담하게 여기며,
죄가 성숙해질 때,
결국 자신이 큰 죄를 받게 됩니다.

💡 해설

어리석은 사람은 자신의 잘못이 아직 드러나지 않으면 그것을 가볍게 여기고,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그 죄가 성숙해져 큰 고통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 구절은 우리의 행동이 시간이 지나면서 그 결과를 가져온다는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賢哲品(현철품)

 

賢哲品(현철품)

賢哲品(현철품)1賢哲品(현철품)2賢哲品(현철품)3賢哲品(현철품)4賢哲品(현철품)5賢哲品(현철품)6賢哲品(현철품)7賢哲品(현철품)8賢哲品(현철품)9賢哲品(현철품)10賢哲品(현철품)11賢哲品(현철품)12

faithin.info-kidae.co.kr

 

🌿 우암품 11

📜 원문 (한자음)

從月至於月 (종월지어월)
愚者用飮食 (우자용음식)
被不信於佛 (피불신어불)
十六不獲一 (십육불획일)

📝 한글 번역

달이 지나면서부터,
어리석은 자는 음식으로 소비하며,
불법에 대한 믿음을 잃고,
십 여 가지의 좋은 일도 하나도 얻지 못합니다.

💡 해설

어리석은 사람은 신뢰와 믿음을 잃고,
불법을 따르지 않으면 결국 어떤 좋은 결과도 얻지 못합니다.
이 구절은 신뢰와 믿음이 중요하며, 불법을 따르는 것이 결국 복을 얻는 길임을 강조합니다.


🌿 우암품 12

📜 원문 (한자음)

惡不卽時 (악불즉시)
如榖牛乳 (여곡우유)
罪在陰伺 (죄재음시)
加灰覆火 (가회복화)

📝 한글 번역

악행은 즉시 드러나지 않으며,
곡식의 껍질과 같은 것처럼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습니다.
죄는 그늘 속에서 숨어 있다가,
마치 불을 덮는 재처럼 드러나게 됩니다.

💡 해설

악행은 즉시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결과가 드러나게 됩니다.
죄는 감추어져 있다가 결국 드러나고, 그 결과는 매우 파괴적일 수 있습니다.
부처님은 악행을 피하고, 선한 길을 따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십니다.

 


阿羅漢品(아라한품)

 

阿羅漢品(아라한품)

阿羅漢品(아라한품)1阿羅漢品(아라한품)2阿羅漢品(아라한품)3阿羅漢品(아라한품)4阿羅漢品(아라한품)5阿羅漢品(아라한품)6阿羅漢品(아라한품)7阿羅漢品(아라한품)8阿羅漢品(아라한품)9阿羅漢品(

faithin.info-kidae.co.kr

 

 

🌿 우암품 13

📜 원문 (한자음)

愚生念慮 (우생념려)
至終無利 (지종무리)
自招刀杖 (자초도장)
報有印章 (보유인장)

📝 한글 번역

어리석은 자는 생각과 계획을 세우고,
결국 아무 이익도 얻지 못합니다.
자신의 행동으로 칼과 몽둥이를 자초하고,
결국 그 결과는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 해설

어리석은 사람은 스스로 불리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자신의 생각이나 계획이 결국 해를 가져오고,
그로 인해 자신이 뿌린 악행의 결과를 받게 된다는 교훈을 줍니다.


🌿 우암품 14

📜 원문 (한자음)

愚人貪利養 (우인탐리양)
求望名譽稱 (구망명예칭)
在家自興嫉 (재가자흥질)
常求他供養 (상구타공양)

📝 한글 번역

어리석은 자는 이익과 양식을 탐하고,
명예와 칭찬을 바라며,
가정 내에서 질투심을 일으키고,
항상 다른 사람의 공양을 구합니다.

💡 해설

어리석은 사람은 세속적인 이익과 명예에 집착합니다.
그는 질투와 경쟁을 일으키며, 자신이 필요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려 합니다.
이 구절은 세속적인 욕망에 집착하지 않고, 자주 반성하고 조화로운 삶을 살 것을 강조합니다.


"니르바나(열반)의 본질: 완전한 해탈의 가능성과 그 조건"

 

"니르바나(열반)의 본질: 완전한 해탈의 가능성과 그 조건"

"니르바나(열반)의 본질: 완전한 해탈의 가능성과 그 조건" - 고통에서 벗어나는 궁극적인 길 ***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1. 니르바나(열반)의 정의와 본질니르바나(열반)는 불교에서 고

faithin.info-kidae.co.kr

 

🌿 우암품 15

📜 원문 (한자음)

勿猗此養 (물이차양)
爲家捨罪 (위가사죄)
此非支意 (차비지의)
用用何益 (용용하익)
愚爲愚計 (우위우계)
欲慢用增 (욕만용증)

📝 한글 번역

이러한 양식을 탐내지 말고,
가정을 위해 죄를 버리십시오.
이것은 진정한 의도가 아니며,
무엇을 하든 그에 대한 이익은 없습니다.
어리석은 자는 어리석은 계획을 세우고,
자신의 게으름을 더하고자 합니다.

💡 해설

세속적인 욕망을 추구하는 것이 실제로 이익이 없다는 교훈을 줍니다.
어리석은 자는 자신의 게으름을 정당화하고,
결국 자기가 만든 무익한 계획에 갇혀 살아간다는 뜻입니다.


🌿 우암품 16

📜 원문 (한자음)

異哉失利 (이재실리)
泥洹不同 (니환불동)
諦知是者 (제지시자)
此丘佛子 (차구불자)
不樂利養 (불락리양)
閑居却意 (한거각의)

📝 한글 번역

이 사람은 이익을 잃고,
니환(열반)과는 다릅니다.
이 사실을 알면,
이 사람은 불자의 제자입니다.
그는 이익과 양식을 즐기지 않으며,
한가히 살아가면서 자신의 의도를 돌이킵니다.

💡 해설

이 구절은 진정한 불자의 길을 따르는 사람은 세속적인 이익에 집착하지 않으며,
자신의 삶에서 깊은 성찰과 의도를 돌아본다는 가르침을 줍니다.
그는 한가한 삶 속에서도 자신의 마음을 돌이켜 보고, 진리와 덕을 추구합니다.

 

"윤회(輪廻)와 재생 개념의 불교적 구조"

 

"윤회(輪廻)와 재생 개념의 불교적 구조"

"윤회(輪廻)와 재생 개념의 불교적 구조" - 생사순환과 그 의미 ***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1. 윤회의 개념과 생사순환윤회(輪廻)는 불교에서 생과 사의 반복적인 순환을 의미하는 중요

faithin.info-kidae.co.kr

 

반응형

'불교 경전 > 법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惡行品(악행품)  (0) 2025.05.11
述千品(술천품)  (0) 2025.05.10
阿羅漢品(아라한품)  (0) 2025.05.09
賢哲品(현철품)  (0) 2025.05.08
花香品(화향품)  (0) 2025.05.06
心意品(심의품)  (0) 2025.05.05
放逸品(방일품)  (0) 2025.05.04
雙叙品(쌍서품)  (0)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