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28장 불수불탐분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2025. 7. 5. 10:16
반응형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28장 불수불탐분

금강반야바라밀경 - 금강경

 

금강반야바라밀경 제28장 해설 바로가기

 

제28장 불수불탐분 원문

不受不貪分 第 二十八  

불수불탐분 제 28 


須菩提 若菩薩 以滿恒河沙等世界七寶 持用布施
수보리 약보살 이만항하사등세계칠보 지용보시


若復有人 知一切法無我 得成於忍 此菩薩 勝前菩薩 所得功德
약부유인 지일체법무아 득성어인 차보살 승전보살 소득공덕


何以故 須菩提 以諸菩薩 不受福德故
하이고 수보리 이제보살 불수복덕고


須菩提 白佛言 世尊 云何菩薩 不受福德
수보리 백불언 세존 운하보살 불수복덕


須菩提 菩薩 所作福德 不應貪着 是故 說不受福德
수보리 보살 소작복덕 불응탐착 시고 설불수복덕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불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진언(眞言) 또는 다라니(陀羅尼)로, 주로 관세음보살의 가피(加被)를 구하고자 할 때 독송됩니다. 한자 표

faithin.info-kidae.co.kr

 

각 구절 해설

須菩提 若菩薩 以滿恒河沙等世界七寶 持用布施
수보리야,
만약 어떤 보살이 갠지스강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세계들에 가득 찬 칠보(금은보화)를 보시한다고 하자.

若復有人 知一切法無我 得成於忍 此菩薩 勝前菩薩所得功德
또 어떤 사람이
‘모든 법(法)이 무아(無我)’라는 것을 깨닫고,
이에 대한 인내(깊은 통찰과 수용)를 성취했다면,
이 보살이 앞선 보살보다 더 위대한 공덕을 지닌 것이다.

何以故 須菩提 以諸菩薩 不受福德故
왜냐하면, 수보리야.
진정한 보살은 공덕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니라.

須菩提 白佛言 世尊 云何菩薩 不受福德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어 말하길,
“세존이시여,
어떻게 보살은 공덕을 받지 않는 것입니까?”

須菩提 菩薩 所作福德 不應貪著 是故 說不受福德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수보리야,
보살이 지은 공덕에 탐내거나 집착하지 않아야 하므로,
공덕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니라.”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1.쌍서품(雙叙品)2.방일품(放逸品)3.심의품(心意品)4.화향품(花香品)5.우암품(愚闇品)6.현철품(賢哲品)7.아라한품(阿羅漢品)8.술천품(述千品)9.악행품(惡行品)10

faithin.info-kidae.co.kr

 

제28장 해설

 

수보리야,
만약 어떤 보살이 갠지스강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세계들에 가득 찬 칠보(금은보화)를 보시한다고 하자.
또 어떤 사람이
‘모든 법(法)이 무아(無我)’라는 것을 깨닫고,
이에 대한 인내(깊은 통찰과 수용)를 성취했다면,
이 보살이 앞선 보살보다 더 위대한 공덕을 지닌 것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진정한 보살은 공덕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어 말하길,
“세존이시여,
어떻게 보살은 공덕을 받지 않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수보리야,
보살이 지은 공덕에 탐내거나 집착하지 않아야 하므로,
공덕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니라.”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이 진언은 불교의 짧은 다라니로, 주로 장애 제거, 액운 소멸, 업장 소멸의 목적으로 염송되는 파괴력 있는 진언입니다.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

faithin.info-kidae.co.kr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불교 진언(眞言) 중에서 매우 널리 알려진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짧지만 강력한 의미를 지닌 다라니(陀羅尼, mantra)입니다. 이 구절은 불가사의한 지혜와 자비의 힘을 불러오는

faithin.info-kida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