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25장 화무소화분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2025. 7. 2. 09:39
반응형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25장 화무소화분

금강반야바라밀경 - 금강경

 

금강반야바라밀경 제25장 해설 바로가기

 

제25장 화무소화분 원문

化無所化分 第 二十五  

화무소화분 제 25 


須菩提 於意云何 汝等 勿謂如來作是念 我當度 衆生 須菩提 莫作是念
수보리 어의운하 여등 물위여래작시념 아당도 중생 수보리 막작시념


何以故 實無有衆生 如來度者
하이고 실무유중생 여래도자


若有衆生 如來度者 如來 卽有我人衆生壽者
약유중생 여래도자 여래 즉유아인중생수자


須菩提 如來說有我者 卽非有我 而凡夫之人 以爲有我
수보리 여래설유아자 즉비유아 이범부지인 이위유아


須菩提 凡夫者 如來說卽非凡夫 是名凡夫
수보리 범부자 여래설즉비범부 시명범부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불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진언(眞言) 또는 다라니(陀羅尼)로, 주로 관세음보살의 가피(加被)를 구하고자 할 때 독송됩니다. 한자 표

faithin.info-kidae.co.kr

 

각 구절 해설

須菩提 於意云何 汝等 勿謂如來作是念 我當度衆生 須菩提 莫作是念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희들은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
‘여래(부처님)가 이렇게 생각한다 — 내가 반드시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
수보리야, 그런 생각을 하지 말라.

何以故 實無有衆生 如來度者
왜냐하면,
실제로 여래가 제도한 중생이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니라.

若有衆生 如來度者 如來卽有我人衆生壽者
만일 여래가 어떤 중생을 제도했다고 한다면,
여래에게는 곧 ‘나(我), 너(人), 중생(衆生), 수명 있는 자(壽者)’라는 집착이 있는 것이니라.

須菩提 如來說有我者 卽非有我 而凡夫之人 以爲有我
수보리야, 여래가 말하는 ‘나’란
진짜 나가 아니라,
오히려 범부(凡夫, 깨닫지 못한 중생)들이 ‘나’가 있다고 착각하는 것일 뿐이니라.

須菩提 凡夫者 如來說卽非凡夫 是名凡夫
수보리야,
여래가 말하는 ‘범부’란
실제로 범부가 아닌 것이며,
그렇게 이름 붙인 것일 뿐이니라.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 1장~26장 해설1.쌍서품(雙叙品)2.방일품(放逸品)3.심의품(心意品)4.화향품(花香品)5.우암품(愚闇品)6.현철품(賢哲品)7.아라한품(阿羅漢品)8.술천품(述千品)9.악행품(惡行品)10

faithin.info-kidae.co.kr

 

제25장 해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희들은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
‘여래(부처님)가 이렇게 생각한다 — 내가 반드시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
수보리야, 그런 생각을 하지 말라.
왜냐하면,
실제로 여래가 제도한 중생이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니라.
만일 여래가 어떤 중생을 제도했다고 한다면,
여래에게는 곧 ‘나(我), 너(人), 중생(衆生), 수명 있는 자(壽者)’라는 집착이 있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말하는 ‘나’란
진짜 나가 아니라,
오히려 범부(凡夫, 깨닫지 못한 중생)들이 ‘나’가 있다고 착각하는 것일 뿐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말하는 ‘범부’란
실제로 범부가 아닌 것이며,
그렇게 이름 붙인 것일 뿐이니라.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불교 진언(眞言) 중에서 매우 널리 알려진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짧지만 강력한 의미를 지닌 다라니(陀羅尼, mantra)입니다. 이 구절은 불가사의한 지혜와 자비의 힘을 불러오는

faithin.info-kidae.co.kr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는 불교 진언(眞言)에서 나오는 짧은 구절로, 주로 호법(護法), 장애 제거, 정화, 수호의 의미로 사용되는 신성한 주문입니다. 옴 아라남 아라다 의미 알아보기 📜 진언: 옴

faithin.info-kida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