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5

心意品(심의품)

심의품 (心意品)마음을 잘 다스리면 행복과 깨달음에 이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고통과 속박에 빠질 수 있다.心意品(심의품)1心意品(심의품)2心意品(심의품)3心意品(심의품)4心意品(심의품)5心意品(심의품)6心意品(심의품)7心意品(심의품)8心意品(심의품)9心意品(심의품)10心意品(심의품)11 심의품 1원문心多爲輕躁 (심다위경조)難持難調護 (난지난조호)智者能自正 (지자능자정)如匠搦箭直 (여장약전직)한글 번역마음은 자주 경솔하고 가볍게 움직이며,다루기도 어렵고 지키기도 어렵습니다.그러나 지혜로운 이는 자기 마음을 바르게 다스립니다.이는 마치 장인이 화살을 곧게 바로잡는 것과 같습니다.해설 부처님께서는 마음이 매우 불안정하고 쉽게 흔들린다고 말씀하십니다.이러한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어렵지만, 지혜로운 사람..

放逸品(방일품)

방일품 (放逸品)게으름과 방종을 경계하고, 부지런함과 자기 절제를 통해 도를 닦아야 함이다.放逸品(방일품)1放逸品(방일품)2放逸品(방일품)3放逸品(방일품)4放逸品(방일품)5放逸品(방일품)6放逸品(방일품)7放逸品(방일품)8放逸品(방일품)9放逸品(방일품)10放逸品(방일품)11放逸品(방일품)12 방일품 1원문戒爲甘露道 (계위감로도)放逸爲死徑 (방일위사경)不貪則不死 (불탐즉불사)失道爲自喪 (실도위자상) 한글 번역계율을 지키는 것은 감로(불사의 약)의 길이며,방일(게으르고 절제 없는 삶)은 죽음에 이르는 길이다.탐욕이 없으면 죽지 않으며,도(道)를 잃으면 스스로를 잃는 것이다. 해설이 구절은 수행자의 바른 삶의 자세를 간결하게 제시한다.계율을 지키고 탐욕을 버리는 삶이 해탈과 불사의 길이며, 방일한 삶은 파..

번뇌(煩惱)의 심리학: 괴로움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번뇌(煩惱)의 심리학: 괴로움은 어떻게 생성되는가“번뇌는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만들어진다.” 불교의 핵심 가르침 중 하나는 ‘고(苦)’의 이해입니다.그리고 고통의 실체를 직면하면 늘 그 한가운데에는 ‘번뇌(煩惱)’가 있습니다.번뇌는 마음을 흐리고, 수행을 방해하며, 윤회를 지속시키는 원동력입니다.그렇다면 번뇌는 어떻게 생겨나고, 왜 우리는 그것에 휘둘리는 걸까요? ***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 1. 번뇌란 무엇인가?불교에서 말하는 번뇌는 단순한 ‘짜증’이나 ‘불편함’을 넘어섭니다.그것은 우리의 마음을 어지럽히고 혼탁하게 만들어 괴로움을 유발하는 내적 작용입니다.산스크리트어로는 클레샤(Kleśa)라고 하며, ‘오염시키는 것’, ‘괴롭히다’ 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대..

불교 이론 2025.05.03

감정, 욕망, 의식의 3층 구조에 대한 불교적 해석

감정, 욕망, 의식의 3층 구조에 대한 불교적 해석“표면에 드러난 감정 너머, 그 뿌리를 바라보라.” 일상 속에서 우리는 ‘기분이 나쁘다’, ‘화를 참기 어렵다’, ‘무언가를 간절히 원한다’는 식의 감정과 욕망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이러한 표층의 반응을 단순히 ‘감정’으로만 보지 않고, 그 아래 더 깊은 구조와 흐름이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1. 마음의 3층 구조란?불교적 관점에서 마음은 단순한 생각이나 느낌을 넘어 감정(情) → 욕망(欲) → 의식(識)이라는 삼중 구조로 작용합니다. 이 구조를 통찰하는 것은 괴로움의 뿌리를 이해하고 해탈로 나아가는 중요한 열쇠입니다.“고통의 본질을 이해하다” “고통의 본질을 이해하다”“고통의 본질을 이해하다”..

불교 이론 2025.05.02

마음은 존재하는가? 불교 인식론의 입장

마음은 존재하는가?불교 인식론의 입장에서 본 ‘마음’의 실재성 “마음은 존재하는가?” 이 질문은 얼핏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 불교 인식론에서 이 물음은 단지 철학적 궁금증이 아니라 삶과 고통, 그리고 해탈의 핵심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마음’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수행의 방향도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 1. 마음은 물질이 아니다 — 그러나 존재도 아니다?불교는 마음을 독립적 실체로서의 존재로 보지 않습니다. 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으며, 손으로 만질 수 없지만, 분명히 '작용하고 경험되는 무엇'입니다.그러나 그 마음조차 고정된 자아나 실체가 아니라, 조건과 인연에 따라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연기(緣起)의 산물일 뿐입니다.“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

불교 이론 2025.05.01

유식학(唯識學)이 말하는 세계 인식의 메커니즘

유식학(唯識學)이 말하는 세계 인식의 메커니즘“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 것이다.” 유식학은 '오직 식(識)만이 있다'는 관점을 통해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의 본질을 밝히려는 불교 철학의 정수입니다. 이 사상은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것이 실제 외부 세계가 아니라, 우리의 ‘식’(즉 인식 작용)에 의해 구성된 것임을 주장합니다. ***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1. 왜 '유식(唯識)'인가?보통 우리는 세상이 '밖에' 존재하고, 우리는 그것을 ‘인식’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유식학은 거꾸로 말합니다.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오직 식(識)일 뿐이며, 외부 세계조차 식의 반영이다." 이 사상은 단순한 관념론이 아니라, 우리가 현실을 어떻게 경험하고 고통받는지를 설명하는 실천적 철..

불교 이론 2025.04.30

식(識)의 구조와 8식(阿賴耶識)의 이해

식(識)의 구조와 8식(阿賴耶識)의 이해불교에서 마음과 인식의 작용을 설명할 때, '식(識)'이라는 개념은 중심에 위치합니다. 단순히 ‘앎’ 혹은 ‘의식’이라는 말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불교에서의 ‘식’은 단순한 인지 능력을 넘어서, 존재와 윤회의 근거까지 설명하는 깊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목차 1. 6식, 7식, 8식의 구조2. 아뢰야식의 의의3. 실천적 통찰: 어떻게 식을 전환할 것인가? ***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 1. 6식, 7식, 8식의 구조불교의 대표적인 심리학 체계인 유식학에서는 인간의 인식 구조를 8가지 식(八識)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① 전5식(前五識)눈(眼), 귀(耳), 코(鼻), 혀(舌), 몸(身)을 통해 감각 세계를 인식하는 다섯 가지 식입니다. 시각, 청각,..

불교 이론 2025.04.29

雙叙品(쌍서품)

쌍서품 (雙叙品) 선한 마음과 말, 행동이 행복으로 이어지고, 악한 마음과 말, 행동이 고통으로 이어진다 雙叙品(쌍서품)1雙叙品(쌍서품)2雙叙品(쌍서품)3雙叙品(쌍서품)4雙叙品(쌍서품)5雙叙品(쌍서품)6雙叙品(쌍서품)7雙叙品(쌍서품)8雙叙品(쌍서품)9雙叙品(쌍서품)10雙叙品(쌍서품)11雙叙品(쌍서품)12雙叙品(쌍서품)13雙叙品(쌍서품)14雙叙品(쌍서품)15雙叙品(쌍서품)16雙叙品(쌍서품)17雙叙品(쌍서품)18雙叙品(쌍서품)19雙叙品(쌍서품)20 원문1:心為法本(심위법본) 心尊小使(심존심사) 中心念惡(중심염악) 卽言卽行(즉언즉행) 罪苦自追(죄고자추) 車轢於轍(거력어철)한글 번역:마음은 법의 근본이다. 마음은 작은 일을 중요하게 여긴다. 마음이 악한 생각을 품으면, 말이 나오고 행동이 뒤따른다. 죄와 고통..

법구경 서문 [法句經] - 26. 범지품(梵志品)

법구경 서문 [法句經] - 26. 범지품(梵志品) 📘 26. 범지품(梵志品)진정한 성자(梵志)의 자격과 그 삶의 태도를 설함 原文:若斷一切結。無著於欲愛。無我無我所。是名真梵志。 한글 번역:모든 속박을 끊고,욕망에 집착하지 않으며,나와 내 것이라는 생각을 버린 자,그가 진정한 범지이다. 해설:이 품은 『법구경』의 마지막 장으로, 해탈의 경지를 이룬 이의 모습을 요약합니다.자아와 집착을 초월한 자야말로 진정한 성스러운 존재(범지)입니다.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마음의 거울, 부처님의 말씀법구경(法句經) 목차 정리불교 경전 중에서도 가장 널리 읽히고 사랑받는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짧지만 깊은 울림이 있는 부처님의 말씀을 통해, 복잡한 세fa..

불교 경전 2025.04.27

법구경 서문 [法句經] - 25. 사문품(沙門品)

법구경 서문 [法句經] 📘 25. 사문품(沙門品)진정한 수행자(沙門)의 자세에 대해 설명 原文:剃髮而披衣。非即為沙門。若能棄惡行。是名真沙門。 한글 번역: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었다고 해서바로 수행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악한 행위를 버린 자야말로진정한 사문이라 할 수 있다. 해설:형식이 아니라 실천이 진정한 수행의 기준입니다.겉모습보다 마음과 행위의 청정함이 중요하다는 가르침.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부처님의 말씀 - 법구경(法句經)📜 마음의 거울, 부처님의 말씀법구경(法句經) 목차 정리불교 경전 중에서도 가장 널리 읽히고 사랑받는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짧지만 깊은 울림이 있는 부처님의 말씀을 통해, 복잡한 세faithin.info-kidae.co.kr "업(業)의 발생과..

불교 경전 2025.04.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