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송문 8

불설아미타경 - 독송문전문(한글)

불설아미타경 - 독송문(한글) 천수경 독경문(한문)• 오분향게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 헌향진언​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kidae.co.kr • 삼귀의계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

불교 경전 2025.10.11

결정왕생정토진언 (決定往生淨土眞言)

🕉️ 결정왕생정토진언 (決定往生淨土眞言) 천수경 독경문(한문)1. 진언명결정왕생정토진언 (決定往生淨土眞言)뜻: "확실히 극락정토에 왕생하겠다"는 발원을 담은 진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kidae.co.kr 2. 한글 독음나모 사만다 못다남 옴 아마리 다바베 사바하나모 사만다 못다남 옴 아마리 다바베 사바하나모 사만다 못다남 옴 아마리 다바베 사바하실제 수행 현장에 따라 독송 횟수와 방식이 다를 수 있으며,보통 1회 또는 3회 독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

불교 이론 2025.09.22

무량수불설 왕생정토주 (無量壽佛設往生淨土呪)

무량수불설 왕생정토주 (無量壽佛設往生淨土呪) 천수경 독경문(한문) 한글 독음나무 아미다바야 다타가다야 다디야타 아미리 도바비 아미리다 싯담바비 아미리다 비가란제 아미리다 비기란다 가미니 가가나 깃다가례 사바하 이는 ‘죄업과 업장을 소멸시키고, 정토에 왕생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은 진언으로, 『불설왕생정토진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kidae.co.kr 진언의 의미와 활용 맥락역할: 현생의 죄업(죄와 업장)을 청산하고, 극락정토에 태어나기를 기원하는 수행 진..

불교 이론 2025.09.21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 독음 (한글)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이 진언은 천수경 의례에서 정구업진언(口業 정화진언) 직후에 이어서 세 번 독송되는 부분입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의미와 구성 구성 요소 의미 五方內外오방(동·서·남·북·중앙) 내외 — 공간의 모든 방향을 포괄安慰諸神여러 신령(신중)을 편안케 하다 — 악귀를 달래거나 조화롭게 하는 의미眞言진언 — 수행과 의례에서 외우는 신성한 주문전체 의미:"오방의 내외에 계신 여러 신령들을 편안히 모신다"는 뜻의 수행 진언으로,의례 시 도량을 보호하고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

불교 이론 2025.09.20

신묘장구대다라니 해석

신묘장구대다라니 천수경 독경문(한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해석 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가리 다바 이맘알야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모든 부처님과 보살님들께 귀의합니다. 관세음보살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예배합니다. 위대한 자비와 지혜를 지닌 관세음보살님, 그 신통력과 공덕을 찬탄합니다. 온갖 두려움을 없애 주시고, 모든 장애를 없애 주시는 위대한 존재께 절합니다. 모든 존재를 굽어보시는(관세음보살의) 위대한 자비의 거룩한 분께 귀의합니다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

불교 경전 2025.09.18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가리 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옘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 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 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 미연제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faithin.info..

불교 경전 2025.09.17

보례진언(普禮眞言)이란?

📿 보례진언(普禮眞言)이란?보례(普禮): ‘두루 예배하다’, ‘모든 부처님께 예를 올리다’는 뜻진언(眞言): 진리를 담은 신성한 주문을 의미보례진언은 곧 “일체의 부처님과 보살님들께 예를 올리는 진언”,즉 모든 성스러운 존재들에게 존경과 공경을 표하는 주문입니다. 🙏 천수경 독경문(한문) 보례진언 독송문📌 보례진언은 언제 사용하나요?보례진언은 불교 의식에서 다음과 같은 때에 사용됩니다:예불 전후: 부처님과 모든 성현께 예를 올리기 위해수행 시작 시: 공손한 마음으로 수행의 시작을 알릴 때불상 앞 공양 시: 향을 피우거나 합장하면서 부처님께 예를 올릴 때이 진언을 통해 겸손한 마음, 감사의 마음, 귀의의 자세를 갖추게 됩니다.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

불교 이론 2025.09.16

발사홍서원 독송문

발사홍서원 독송문 천수경 독경문(한문) 전문독경문(한문) 發四弘誓願 발사홍서원 衆生無遍誓願度 煩惱無盡誓願斷 法門無量誓願學 佛度無上誓願成 중생무변서원도 번뇌무진서원단 법문무량서원학 불도무상서원성 自性衆生誓願度 自性煩惱誓願斷 自性法門誓願學 自性佛道誓願成 자성중생서원도 자성번뇌서원단 자성법문서원학 자성불도서원성 願已發願已 歸命禮三寶 원이발원이 귀명례삼보 南無常住十方佛 南無常住十方法 南無常住十方僧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천수경 독경문(한글) 전문 독경문(한글)발사홍서원 (네 가지 큰 서원) 가없는 중생을 건지오리다. 끝없는 번뇌를 끊으오리다. 한없는 법문을 배우오리다. 위없는 불도를 이루오리다. 자성의 ..

불교 경전 2025.09.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