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 독음 (한글)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이 진언은 천수경 의례에서 정구업진언(口業 정화진언) 직후에 이어서 세 번 독송되는 부분입니다.

의미와 구성
| 구성 요소 | 의미 | 
| 五方內外 | 오방(동·서·남·북·중앙) 내외 — 공간의 모든 방향을 포괄 | 
| 安慰諸神 | 여러 신령(신중)을 편안케 하다 — 악귀를 달래거나 조화롭게 하는 의미 | 
| 眞言 | 진언 — 수행과 의례에서 외우는 신성한 주문 | 
전체 의미:
"오방의 내외에 계신 여러 신령들을 편안히 모신다"는 뜻의 수행 진언으로,
의례 시 도량을 보호하고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
faithin.info-kidae.co.kr
수행적 맥락과 중요성
- 예불·경전 독송 의례에서 사용됨
천수경 의례(송경의식)에서 경전을 펼치기 전에 정구업진언을 올리고 이어서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을 염송합니다. - 영적 안전·도량 정화
오방 내외를 망라하는 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신령들을 안정시키고, 수행 공간 전체를 정화하여 신성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 삼보(三寶) 중심의 의례 체계 일부
특히 한국 불교 의식 중 천수경 의례에서는 이러한 진언들이 전체 수행 흐름의 일부로 통합되어 있어, 의례 의도가 잘 드러납니다.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降魔眞言) :항마진언 해설 바로가기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상구방 남자광명(壇上口放喃字光明) 소여무명 소적지신(燒汝無明
faithin.info-kidae.co.kr
정리
- 진언명: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 독송 순서: 정구업진언(구업 청정) →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신중 안정) → 개경게 등 이어짐
 - 의미 요약: 모든 방향의 신령을 편안히 하여 수행 공간과 마음을 정화하고 보호하도록 하는 주문
 - 사용 맥락: 천수경 의례의 초반부 수행 — 의례 공간의 보호와 정화
 
화엄경 약찬게 독송문 (한문)
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대방광불화엄경 용수보살약찬게 大方廣佛華嚴經 龍樹菩薩略纂偈 화엄경 약찬게 해설 보러가기 나무화장세계해 비로자나진법신 南無華藏世界海 毘盧遮那眞法
faithin.info-kidae.co.kr
📌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독음 (한글)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金剛般若波羅密經 금강반야바라밀경 法會因由分 第 一 법회유인분 제 1 如是我聞 여시아문 一時 佛 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 일시 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덕원 여대비
faithin.info-kidae.co.kr
'불교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석가모니 부처님 생애 불교 창시자의 삶과 깨달음 이야기 (0) | 2025.10.13 | 
|---|---|
|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 기본 개념 정리 (0) | 2025.10.12 | 
| 결정왕생정토진언 (決定往生淨土眞言) (0) | 2025.09.22 | 
| 무량수불설 왕생정토주 (無量壽佛設往生淨土呪) (0) | 2025.09.21 | 
|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이란? (0) | 2025.09.19 | 
| 보례진언(普禮眞言)이란? (0) | 2025.09.16 | 
| 삼귀의계(三歸依戒)란? (0) | 2025.09.13 | 
| 오분향게(五分香偈) (0) | 202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