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38

자비경 慈悲經

자비경 慈悲經1.완전한 평정 상태를 얼핏 맛보고서 더욱 더 향상을 이루고자 애쓰는 사람은 유능하고, 정직하고, 고결하고, 말이 점잖으며, 온유하고, 거만하지 않아야 한다.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2.만족할 줄 알아서 적은 이익에도 감사하며 분주하지 않고, 생활이 간소하며, 감관은 고요하고, 사려가 깊은지니, 남들에게 뻔뻔스러워서도 알랑대서도 안되리. 3.또한 현자의 질챍을 살 어떤 행동도 삼가야 할지라. (그런 다음에 이와 같은 생각을 할지니) 모든 이들이 탈없이 잘 지내기를! 모든 이들이 진정으로 행복하기를!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항마진언 (降魔眞言) : 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상구방 남자광명(壇上口放喃字光明) 소여무명 소적지신(..

불교 경전 2025.08.17

츰부다라니 독송문

츰부다라니 독송문 츰부다라니 츰부 츰부 츰츰부 아가셔 츰부 바결랍 츰부 암발랍 츰부 비라 츰부 발졀랍 츰부 아루가 츰부 담뭐 츰부 살더뭐 츰부 살더닐하뭐 츰부 비바루가찰뭐 츰부 우붜셤뭐 츰부 내여나 츰부 붤랄여삼므디랄나 츰부 찰라 츰부 비실바리여 츰부 셔살더랄바 츰부 비어자수재 맘히리 담미 셤미 잡결랍시 잡결랍믜스리 치리 시리 결랄 붜붤러발랄디 히리 벌랄비 붤랄저러니 달니 헐랄달니 붜러 져져져져 히리 미리 이결타 탑기 탑규루 탈리 탈리 미리 뭐대 더대 구리 미리 앙규즈더비 얼리 기리 붜러 기리 규차섬믜리 징기둔기 둔규리 후루 후루 후루 규루 술두미리 미리디 미리대 뷘자더 허러히리 후루 후루루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항마진언 (降魔眞言) : 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

불교 이론 2025.08.15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항마진언 (降魔眞言) : 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상구방 남자광명(壇上口放喃字光明) 소여무명 소적지신(燒汝無明所積之身) 역칙천상 공faithin.info-kidae.co.kr 진성심심극미묘 (眞性甚深極微妙) 불수자성수연성 (不守自性隨緣成) 일중일체다중일 (一中一切多中一) 일즉일체다즉일 (一卽一切多卽一)일미진중함시방 (一微塵中含十方) 일체진중역여시 (一切塵中亦如是) 무량원겁즉일념 (無量遠劫卽一念)일념즉시무량겁 (一念卽是無量劫)구세십..

불교 경전 2025.08.13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해설

金剛般若波羅密經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해설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해설제1장 해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고,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있었다. 그때 세존께서는 식사 시간이 되어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사위대성 안으로 들어가 탁발하셨다. 그 성 안에서 차례대로 탁발을 마친 뒤 원래 계시던 곳으로 돌아오셔서 식사를 마친 후, 가사와 발우를 정리하시고 발을 씻은 뒤 자리에 앉으셨다.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1장 법회유인분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1장 법회유인분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1장 법회유인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1장 해설 바로가기제1장 법회유인분 원문法會因由分 第 一 법회유인분 제 일 如是我聞 여시아문 一時 佛 在舍fa..

불교 경전 2025.07.11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金剛般若波羅密經 금강반야바라밀경 法會因由分 第 一 법회유인분 제 1 如是我聞 여시아문 一時 佛 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 일시 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덕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구 爾時 世尊 食時 着衣持鉢 入 舍衛大城 乞食 於其城中 次第乞已 이시 세존 식시 착의지발 입 사위대성 걸식 어기성중 차제걸이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환지본처 반사흘 수의발 세족이 부좌이좌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1장 법회유인분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1장 법회유인분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1장 법회유인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1장 해설 바로가기제1장 법회유인분 원문法會因由分 第 一 법회유인분 제 일 如是我聞 여시아문 一時 佛 在舍faithin.info-kidae.co.k..

불교 경전 2025.07.10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32장 응화비진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32장 응화비진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32장 해설 바로가기 제32장 응화비진분 원문應化非眞分 第 三十二 응화비진분 제 32 須菩提 若有人 以滿無量阿僧祗世界七寶 持用布施 수보리 약유인 이만무량아승기세계칠보 지용보시若有善男子善女人 發菩薩心者 持於此經 약유선남자선녀인 발보살심자 지어차경乃至四句偈等 受持讀誦 爲人演說 其福 勝彼 내지사구게등 수지독송 위인연설 기복 승피云何爲人演說 不取於相 如如不動 운하위인연설 불취어상 여여부동 何以故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하이고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佛說是經已 長老須菩提 及諸比丘比丘尼 優婆塞優婆尼 불설시경이 장로수보리 급제비구비구니 우바새우바이一切世間天人阿修羅 聞佛所說 皆大歡喜 信受奉行 金剛般..

불교 경전 2025.07.09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31장 지견불생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31장 지견불생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31장 해설 바로가기제31장 지견불생분 원문知見不生分 第 三十一 지견불생분 제 31 須菩提 若人 言 佛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수보리 약인 언 불설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須菩提 於意云何 是人 解我所說義不 不也 世尊 是人 不解如來所說義 수보리 어의운하 시인 해아소설의부 불야 세존 시인 불해여래소설의何以故 世尊 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하이고 세존 설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卽非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是名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즉비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시명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須菩提 發阿縟多羅三邈三菩提心者 수보리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於一切法 應如是知 如是見 如是信解 不生法相 어일체법 응여시지 여시견 여시신해 불생법상須菩提 所言法相者 如來說卽非法相 是名法相..

불교 경전 2025.07.08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30장 일합이상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30장 일합이상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30장 해설 바로가기 제30장 일합이상분 원문 一合理相分 第 三十 일합이상분 제 30 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以三千大千世界 碎爲微塵 於意云何 是微塵衆 寧爲多不 수보리 약선남자선녀인 이삼천대천세계 쇄위미진 어의운하 시미진중 영위다부須菩提言 甚多 世尊 何以故 若是微塵衆 實有者 佛卽不說是微塵衆 수보리언 심다 세존 하이고 약시미진중 실유자 불즉불설시미진중所以者何 佛說微塵衆 卽非微塵衆 是名微塵衆 소이자하 불설미진중 즉비미진중 시명미진중世尊 如來所說三千大千世界 卽非世界 是名世界 세존 여래소설삼천대천세계 즉비세계 시명세계何以故 若世界 實有者 卽是一合相 如來說一合相 卽非一合相 是名一合相 하이고 약세계 실유자 즉시일합상 여래설일합상 즉비일합상 ..

불교 경전 2025.07.07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29장 위의적정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29장 위의적정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29장 해설 바로가기제29장 위의적정분 원문威儀寂靜分 第 二十九 위의적정분 제 29 須菩提 若有人 言 如來 若來若去 若坐若臥 是人 不解我所說義 수보리 약유인 언 여래 약래약거 약좌약와 시인 불해아소설의何以故 如來者 無所從來 亦無所去 故名如來 하이고 여래자 무소종래 역무소거 고명여래 우리 삶을 밝히는 성스러운 기도 우리 삶을 밝히는 성스러운 기도우리 삶을 밝히는 성스러운 기도불교에서는 삼보(三寶), 즉 부처님(佛), 가르침(法), 그리고 스님 공동체(僧)께 귀의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수행의 출발점으로 여깁니다. 이 삼보에 귀의함으로써faithin.info-kidae.co.kr 각 구절 해설須菩提 若有人 言 如來 若來若去 若坐若臥..

불교 경전 2025.07.06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설 - 제28장 불수불탐분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해설 - 제28장 불수불탐분 금강반야바라밀경 제28장 해설 바로가기 제28장 불수불탐분 원문不受不貪分 第 二十八 불수불탐분 제 28 須菩提 若菩薩 以滿恒河沙等世界七寶 持用布施 수보리 약보살 이만항하사등세계칠보 지용보시若復有人 知一切法無我 得成於忍 此菩薩 勝前菩薩 所得功德 약부유인 지일체법무아 득성어인 차보살 승전보살 소득공덕何以故 須菩提 以諸菩薩 不受福德故 하이고 수보리 이제보살 불수복덕고須菩提 白佛言 世尊 云何菩薩 不受福德 수보리 백불언 세존 운하보살 불수복덕須菩提 菩薩 所作福德 不應貪着 是故 說不受福德 수보리 보살 소작복덕 불응탐착 시고 설불수복덕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불교에서 매우 중요..

불교 경전 2025.07.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