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이론 52

관세음보살사십이수주

觀世音菩薩四十二手呪 (관세음보살사십이수주)천수경 독경문(한문)1. 관세음보살 여의수주진언 (觀世音菩薩如意珠手眞言) -여러 가지 보배 재물을 얻으려거든 이 진언을 외우시오."옴 바아리 바다리 훔 바탁"2. 관세음보살 견색수진언 (觀世音菩薩絹索手眞言) -여러 가지 불안에서 평안을 얻으려거든 이 진언을 외우시오."옴 기리나라 모나라 훔 바탁"3. 관세음보살 보발수진언 (觀世音菩薩寶鉢手眞言) -뱃속의 모든 병고를 물리치려면 이 진언을 외우시오."옴 기리기리 바아라 훔 바탁"4. 관세음보살 보검수진언 (觀世音菩薩寶劒手眞言) -모든 마귀의 항복을 받으려면 이 진언을 외우시오."옴 제세제야 도미니 도제 삿다야 훔 바탁"5. 관세음보살 바아라수 진언 (觀世音菩薩 跋折羅手眞言) -모든 천마외도를 항복 받으려면 이 진언을..

불교 이론 2025.08.18

지장보살 츰부다라니 독송문

지장보살 츰부다라니 독송문 지장보살 츰부다라니 츰부 츰부 츰츰부 아가셔 츰부 바결랍 츰부 암발랍 츰부 비라 츰부 발졀랍 츰부 아루가 츰부 담뭐 츰부 살더뭐 츰부 살더닐하뭐 츰부 비바루가찰뭐 츰부 우붜셤뭐 츰부 내여나 츰부 붤랄여삼므디랄나 츰부 찰라 츰부 비실바리여 츰부 셔살더랄바 츰부 비어자수재 맘히리 담미 셤미 잡결랍시 잡결랍믜스리 치리 시리 결랄 붜붤러발랄디 히리 벌랄비 붤랄저러니 달니 헐랄달니 붜러 져져져져 히리 미리 이결타 탑기 탑규루 탈리 탈리 미리 뭐대 더대 구리 미리 앙규즈더비 얼리 기리 붜러 기리 규차섬믜리 징기둔기 둔규리 후루 후루 후루 규루 술두미리 미리디 미리대 뷘자더 허러히리 후루 후루루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항마진언 (降魔眞言) : 아이금강 삼등방편(我..

불교 이론 2025.08.16

츰부다라니 독송문

츰부다라니 독송문 츰부다라니 츰부 츰부 츰츰부 아가셔 츰부 바결랍 츰부 암발랍 츰부 비라 츰부 발졀랍 츰부 아루가 츰부 담뭐 츰부 살더뭐 츰부 살더닐하뭐 츰부 비바루가찰뭐 츰부 우붜셤뭐 츰부 내여나 츰부 붤랄여삼므디랄나 츰부 찰라 츰부 비실바리여 츰부 셔살더랄바 츰부 비어자수재 맘히리 담미 셤미 잡결랍시 잡결랍믜스리 치리 시리 결랄 붜붤러발랄디 히리 벌랄비 붤랄저러니 달니 헐랄달니 붜러 져져져져 히리 미리 이결타 탑기 탑규루 탈리 탈리 미리 뭐대 더대 구리 미리 앙규즈더비 얼리 기리 붜러 기리 규차섬믜리 징기둔기 둔규리 후루 후루 후루 규루 술두미리 미리디 미리대 뷘자더 허러히리 후루 후루루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항마진언 (降魔眞言) : 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

불교 이론 2025.08.15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불교 의식 3가지

불교에서는 삶과 죽음, 공덕과 자비를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의식이 있지만,그중에서도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불교 의식 3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천수경 독경문(한문) 보러가기 🧘‍♂️ 꼭 알아야 할 불교 의식 3가지1. 천도재(薦度齋) – 영가를 위한 극락왕생 기원 🙏의미:망자가 좋은 곳에 태어나도록 돕는 천도(薦度) 의식입니다.특히 49일 기도, 기일, 백중 기간 등에 많이 지내요.왜 중요한가요?조상에 대한 효를 실천하는 대표적 불교 의식자비심과 공덕을 쌓는 기회가족 간 유대감 회복과 마음 치유의 시간관련 시기:49재, 백중(음력 7월 15일), 기제사 등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항마진언 (降魔眞言) : 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

불교 이론 2025.08.12

수륙재란?

🌊 수륙재란? 물과 육지의 모든 영혼을 위로하는 불교 최대 천도재 🙏불교의 대표적인 재의식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의미가 깊은 '수륙재(水陸齋)'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우리가 잘 알고 있는 천도재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 수륙재와 천도재의 차이점 📖 수륙재란 무엇인가요?수륙재(수륙대재, 水陸大齋)는이 세상에서 고통받고 떠도는 모든 영혼, 즉 🔹 육지의 영가들(선망 부모, 유주무혼, 전쟁사망자 등)🔹 바다에 떠도는 고혼들(수몰자, 뱃사람, 물에 빠진 영혼 등) 을 위해 불보살의 자비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불교 최대의 천도 의식입니다.사성제란 무엇인가: 불교 고통 해석의 핵심 원리 사성제란 무엇인가: 불교 고통 해석의 핵심 원리고통을 끝내는 법, 사성..

불교 이론 2025.08.11

천도재란? 영가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 천도의식

🙏 천도재란? 영가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 천도의식 🌸불교에서 중요한 의식 중 하나인 천도재(薦度齋)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사람이 세상을 떠난 후, 남은 이들이 올리는 정성과 기도의식인 천도재는죽은 이를 위한 것이면서 동시에 산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는 시간이기도 해요. 천도재 진행 순서 🕯️ 천도재란 무엇인가요?천도재(薦度齋)는👉 이 세상을 떠난 영혼(영가)이 괴로움에서 벗어나 극락으로 갈 수 있도록👉 불보살의 자비와 공덕을 빌어 천도(薦度)하는 불교 의식입니다. 간단히 말해,영가를 위로하고 좋은 곳으로 인도하는 재(齋)를 올리는 것입니다. 🙏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해설 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해설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원문대방광불화엄경 용수보살약찬게 大..

불교 이론 2025.08.10

우란분절(盂蘭盆節)이란? 조상을 위한 불교 명절의 의미

🙏 우란분절(盂蘭盆節)이란? 조상을 위한 불교 명절의 의미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 중 하나인 '우란분절(盂蘭盆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조상에 대한 효와 자비를 실천하는 날인 우란분절, 과연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요? 사찰에서 우란분절(백중) 의식 봉행 순서 📅 우란분절이 언제인가요?우란분절(盂蘭盆節)은 음력 7월 15일,불교에서 조상 영가를 위로하고 천도하는 날로, 우리나라에서는 백중(百中)이라고도 부릅니다.📖 우란분절의 유래우란분절은 불교 경전인 《우란분경(盂蘭盆經)》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설화 요약:부처님의 제자 목련존자(목건련)는 지옥에서 고통받는 어머니를 위해 구제를 청했고,부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어요:“음력 7월 15일, 스님들에게 공양을 올리고 공덕을 회향하..

불교 이론 2025.08.06

백중재란? 조상과 영가를 위한 불교 천도재

🎇 음력 7월 15일, 백중재란? 조상과 영가를 위한 불교 천도재 🙏불교의 중요한 의식 중 하나인 '백중재'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매년 음력 7월 15일은 백중(百中) 또는우란분절(盂蘭盆節)로, 조상과 고혼들을 천도하는 날입니다. 사찰에서 백중재 진행되는 순서 📿 백중재란 무엇인가요?백중재(百中齋)는 불교에서 조상 영가와 외롭게 떠도는 고혼(孤魂)을 천도하기 위해 지내는 재(齋)입니다.이날은 망자의 고통을 덜어주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천도법회가 열리는데요,특히 불교 신자나 조상 공경을 중요하게 여기는 가정에서는 사찰에 이름을 올려 천도기도를 올리는 관습이 있습니다.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해설 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해설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원문대방광불화엄경 용수보살약찬..

불교 이론 2025.08.05

오온으로 보는 ‘나’의 진실: 자아 해체 명상의 길

🧩 오온 분석을 통한 자아 해체: ‘나’라는 환상을 깨다우리가 흔히 ‘나’라고 부르는 자아는 과연 무엇일까요?불교에서는 오온(五蘊)이라는 다섯 가지 요소의 조합일 뿐이라고 말합니다.즉, 고정된 ‘나’라는 실체는 없으며,오히려 ‘나’라는 환상에 집착할 때 고통이 생긴다고 가르치죠.오온이 무엇인지,오온 분석을 통해 어떻게 자아가 해체되는지,그리고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깊게 살펴보겠습니다. 🌿 실생활 적용법: 오온 명상법 1️⃣ 오온(五蘊)이란?오온은 우리 존재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입니다:색(色): 신체, 물질적 형태수(受): 감각, 느낌 (기쁨, 슬픔, 고통 등)상(想): 인식, 개념화, 기억행(行): 의지, 습관, 마음의 작용식(識): 의식, 자각, 인지능력이 모든 요소가 모여서우리..

불교 이론 2025.08.02

무아를 깨닫는 순간, 진짜 자유가 시작된다

🕊️ 무아와 자유의 관계: 진정한 해방을 향한 불교의 길불교에서 가장 혁명적인 사상 중 하나는 바로 무아(無我)입니다.‘나’라는 존재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는 이 진리는,많은 이들에게는 혼란을 주기도 하지만,그 너머에 진정한 자유와 해방이 있음을 알려줍니다. 🌿무아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자유와 연결되는지쉽고 깊이 있게 설명해볼게요! 무아 실천법: 어떻게 자유를 경험할까? 1️⃣ 무아란 무엇인가?‘무아’는 문자 그대로 ‘아(我) 없음’을 뜻합니다.즉,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나’라는 고정된 자아, 영원한 ‘나’는 없다는 뜻이에요.불교에서는 ‘나’라고 부르는 존재가오온(色, 受, 想, 行, 識)이라는 다섯 가지 요소의임시적 결합일 뿐이라고 봅니다.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해설 금강반야바라밀경 전..

불교 이론 2025.08.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