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혜철수진언(慧徹修眞言)
1. 진언 구성
옴 나자바니 사바하
2. 의미 및 상징
- 혜철(慧徹): ‘지혜(慧)’가 ‘철저히 통한다(徹)’ 혹은 ‘통달한다’는 뜻이므로, 깊은 지혜가 완전히 드러나는 것 또는 지혜로 완성된 수행을 의미할 가능성이 큼.
- 수(修): ‘수행함’이라는 뜻이니까, 지혜를 단순히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것만이 아니라 실제 수행을 통해 체득하고 삶 속에서 드러내려는 결심과 노력을 포함함.
혜철수진언은 지혜를 철저히 수행함을 기원하는 주문이고, 수행자가 지혜의 빛으로 마음을 밝히고 번뇌를 꿰뚫기를 바라는 수행적 염원으로 보여집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faithin.info-kidae.co.kr
3. 수행 방식
- 염송 반복: 보통 3회 반복하여 염송하는 방식이 소개됨.
- 정진과 마음가짐: 이 진언을 외울 때 마음을 가라앉히고, 지혜를 닦겠다는 다짐과 수행하는 마음가짐이 함께 강조됨. “지혜를 철저히 수행할 것을 생각하면서 외우는 진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
faithin.info-kidae.co.kr
4. 주의 및 권고
- 발음, 반복 횟수, 진언을 외우는 순서 등이 전승 또는 지역, 사찰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단순히 반복만 하기보다는 진언의 의미, 수행의 맥락, 수행자의 정성과 자세가 함께할 때 더 효과적이라는 전승적 믿음이 존재함.
혜철수진언 “옴 나자바니 사바하”는 전승적으로 전해지는 진언 중 하나로, 지혜(慧)를 완전히 통달하도록 수행하려는 염원과 마음가짐을 담은 주문입니다.
그 뜻을 마음 속 깊이 새기며, 반복적으로 염송하고 행동으로 지혜를 실천하려는 삶의 자세가 뒤따른다면 괜찮은 수행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降魔眞言) :항마진언 해설 바로가기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상구방 남자광명(壇上口放喃字光明) 소여무명 소적지신(燒汝無明
faithin.info-kidae.co.kr
반응형
'불교 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결도진언(定決道眞言) (0) | 2025.10.04 |
---|---|
계장진언(戒藏眞言) (0) | 2025.10.03 |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 (0) | 2025.10.02 |
법삼장진언(法三藏眞言) (0) | 2025.10.01 |
불삼신진언(佛三身眞言) (0) | 2025.09.30 |
선망부모왕생정토진언(先亡父母往生淨土眞言) (0) | 2025.09.29 |
대보부모은중진언(大報父母恩重眞言) (0) | 2025.09.28 |
무량수여래 근본다라니(無量壽如來根本陀羅尼) (0) | 2025.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