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2025. 10. 2. 12:12
반응형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 

스님들의 세 가지 승(乘)을 기리는 진언

불교 수행에서 진언은 마음을 정화하고 불법(佛法)을 기억하며 중생의 고통을 덜어 주는 중요한 수행의 도구입니다.

그중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은 ‘삼승(三乘)’을 기리는 주문으로, 스님 혹은 승려의 길, 불제자 수행자의 길에 대한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

“승삼승”이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세 가지 승의 길’을 뜻하는데, 보통 법승(法乘)·열반승·보살승 또는 성문·연각·보살 등의 구도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승삼승진언(僧三乘眞言)


진언 형태

옴 수탄복다예 사바하

의미와 상징

승삼승진언은 다음과 같은 의미와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

  1. 삼승에 대한 귀의와 발원
    수행자가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등의 세 길(三乘)의 가르침과 길을 존중하고 본받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함.
  2. 내면의 정화와 마음 닦음
    이 진언을 반복함으로써 마음이 산란한 중생의 번뇌를 줄이고, 정진과 자비·지혜 수행을 일으키는 계기를 삼음.
  3. 수행자의 정체성 확립
    승자로서 지켜야 할 계율, 자비, 연민, 중생 제도(濟度)에 대한 책임감을 다짐하는 의미가 포함됨.
  4. 공덕과 가피를 구함
    진언 수행을 통해 수행자 자신 뿐 아니라 주변 중생에게도 평화, 자비, 복덕이 확장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깔려 있음.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faithin.info-kidae.co.kr

 

수행 방식 및 활용

  • 염불/암송
    조용한 공간에서 “옴 수탄복다예 사바하”를 반복 암송함. 진언을 소리내서 외우기도 하고, 마음속으로 염송하기도 함.
  • 사경(寫經) 또는 필사
    종이나 염주 등에 이 진언을 필사하며 쓰는 수행도 있음. 집중력을 키우고 진언의 의미를 곱씹는 데 유익함.
  • 의식에서의 사용
    예불, 법회, 스님 수계식 혹은 불제자 모임에서 삼귀의나 귀의문에 이어 이 진언을 외우는 경우가 종종 있음. 승려 공동체(僧團)의 화합과 수행 의지를 다질 때도 쓰임.

개경게 개법장진언

 

개경게 개법장진언

개경게 개법장진언 천수경 독경문(한문) 전문독경문(한문)開經偈 개경게 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隅 我今聞見得修持願解如來眞實義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

faithin.info-kidae.co.kr

 

주의할 점 / 참고 사항

  • 전승의 차이: 사찰이나 불교 종파에 따라 진언의 발음, 문구, 앞뒤 붙이는 귀의어나 축원 문구 등이 약간씩 다를 수 있어.
  • 마음가짐 중요성: 단순히 외우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제한되고, 예의를 갖춘 마음, 충실한 수행 의지, 자비심 등이 함께 있을 때 진언이 수행자로서 더 의미 있어져.
  • 진언의 기능 이해: 진언은 “주문”이라기보다 수행자 마음의 지향성과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수단으로 보는 쪽이 일반적이야.

승삼승진언 “옴 수탄복다예 사바하”는 수행자에게 삼승의 길을 상기시키고, 마음을 정화하며 수행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진언입니다.
매일 암송하거나 예불 또는 스님 공동 모임에서 사용하면, 자비·지혜의 마음이 더 깊어지고 내면의 평화도 느껴보세요.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

faithin.info-kida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