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보부모은중진언(大報父母恩重眞言)
부모에 대한 은혜를 기리는 진언
부모와 조상에 대한 감사와 공경은 불교에서 중요한 덕목 중 하나입니다.
이 중 대보부모은중진언은 “큰 은혜를 베풀어 준 부모에 대한 은덕(恩德)을 크게 생각하고 기리는 마음”을 담은 주문으로
부모님 및 조상에 대한 보은(報恩)의 염원과 공덕을 쌓기 위해 사용됩니다.
진언의 구성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아아나 사바하
- 목적: 부모의 은덕을 기억하고 감사하며, 부모님/조상님의 복을 빌고 마음의 평안을 얻기 위함
- 용도: 조상 제사, 부모 기일, 또는 개인 수행 중 부모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염송함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
faithin.info-kidae.co.kr
뜻과 상징
“대보부모은중진언”이 전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모의 은혜에 대한 감사
부모가 살아주심, 키워주심, 보살펴 주심 등에 대해 마음 깊이 감사하는 마음을 일깨움 - 은혜에 대한 보은
삶 속에서 부모에게 효도하거나, 조상에 대한 공경과 기억을 통해 행위로 보답하려는 의도 - 내면의 정화와 화합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미안함, 후회, 갈등 등이 있을 경우 진언을 통해 마음을 정화하고 평온함과 화합을 추구함 - 업을 정리하고 복을 마련함
부모님과 조상에게 지은 업(부정적 행위) 또는 생전에 못 다한 효와 관련된 마음의 짐을 털고, 자손을 위한 복을 쌓는다는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천수경 독경문(한문) 원문나모라 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faithin.info-kidae.co.kr
주의할 점
- 마음으로 진심으로 염송하는 것이 중요하며, 단순 반복만으로 의미가 완전히 채워지는 것은 아님
- 진언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는 건 아니고, 행동(효도, 공경, 감사)과 병행되어야 효과적이라는 불교적 관점이 일반적
“대보부모은중진언”은 부모님과 조상에 대한 깊은 감사와 공경을 마음 깊이 새기고자 하는 불자들에게 의미 있는 수행 주문입니다.
감사와 공경의 의도를 잘 품고 꾸준히 염송하면 내면의 화합과 감사의 마음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화엄경 약찬게 독송문 (한문)
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대방광불화엄경 용수보살약찬게 大方廣佛華嚴經 龍樹菩薩略纂偈 화엄경 약찬게 해설 보러가기 나무화장세계해 비로자나진법신 南無華藏世界海 毘盧遮那眞法
faithin.info-kidae.co.kr
반응형
'불교 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량수여래 근본다라니(無量壽如來根本陀羅尼) (0) | 2025.09.27 |
---|---|
무량수여래심주란?(無量壽如來心呪) (0) | 2025.09.26 |
아미타불 심중심주란? (0) | 2025.09.25 |
아미타불 본심미묘진언이란? (0) | 2025.09.24 |
상품상생진언(上品上生眞言) (0) | 2025.09.23 |
신묘장구대다라니 해석 (0) | 2025.09.18 |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0) | 2025.09.17 |
불설아미타경 기도발원문 (0) | 202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