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삼업진언(正三業眞言)이란?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 2025. 9. 15. 13:49
반응형

정삼업진언(正三業眞言)이란?

  • 정삼업(正三業)은 불교에서 말하는 “바른 세 가지 행위”를 뜻합니다.
  • 여기서 ‘삼업(三業)’은 신업(身業, 몸으로 하는 행위), 구업(口業, 말로 하는 행위), 의업(意業, 마음으로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 ‘정(正)’은 올바름을 뜻하며, ‘진언(眞言)’은 불교에서 수행이나 의식 때 외우는 주문, 경전의 문구 등을 뜻합니다.

즉, 정삼업진언은 바른 몸, 말, 마음의 행위를 강조하는 수행 진언이나 주문입니다.

 

천수경 독경문(한문)

 

정삼업진언(正三業眞言)이란?


정삼업진언 독송문

삼업(三業)이란?

  1. 신업(身業, 몸의 행위)
    • 우리의 몸으로 하는 모든 행동
    • 살생하지 않기, 도둑질 하지 않기 등 도덕적 행위를 포함
  2. 구업(口業, 말의 행위)
    • 말로 하는 모든 행위
    • 거짓말 하지 않기, 험담하지 않기, 악담하지 않기 등
  3. 의업(意業, 마음의 행위)
    • 마음으로 하는 모든 의도와 생각
    • 탐욕, 성냄, 어리석음 등 부정적인 마음을 떠나 깨끗하고 올바른 마음을 유지하는 것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

의상조사 법성게 원문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의상조사 법성게 해설 바로가기

faithin.info-kidae.co.kr

 

정삼업진언의 의미

  • 수행자는 이 신체, 언어, 마음 세 가지를 항상 정(바르게) 하여 깨끗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 진언(진리의 말)을 통해 삼업을 정화하고 바른 길로 나아가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降魔眞言) :항마진언 해설 바로가기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상구방 남자광명(壇上口放喃字光明) 소여무명 소적지신(燒汝無明

faithin.info-kidae.co.kr

 

정삼업진언의 역할

  • 도덕적 자기 관리: 삼업을 올바르게 하도록 스스로 다짐하고 마음을 다잡음
  • 수행의 근본: 깨달음에 이르는 길에서 몸과 말과 마음을 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업(karma) 소멸: 부정적 업을 쌓지 않고, 선업을 쌓기 위한 수행법의 핵심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독경문 (한문)

항마진언 (降魔眞言) :항마진언 해설 바로가기아이금강 삼등방편(我以金剛三等方便) 신승금강 반월풍륜(身乘金剛半月風輪) 단상구방 남자광명(壇上口放喃字光明) 소여무명 소적지신(燒汝無明

faithin.info-kidae.co.kr

 

 

정삼업진언 예시

불교 경전이나 수행에서 “나는 바른 몸과 말과 마음을 지키겠습니다” 또는 “정삼업을 닦아 올바른 길을 가겠습니다”와 같은 다짐이나 주문 형태로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진언으로는 『법화경』 등에서 나오는 여러 수행 진언들이 있지만, 정삼업진언은 삼업을 정화하고 바르게 하겠다는 수행자의 기본 서원을 뜻하는 말입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 뜻과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불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진언(眞言) 또는 다라니(陀羅尼)로, 주로 관세음보살의 가피(加被)를 구하고자 할 때 독송됩니다. 한자 표

faithin.info-kidae.co.kr

 

• 정삼업진언 (독송문)

옴 사바바바 수다살바 달마 사바바바 수도함
옴 사바바바 수다살바 달마 사바바바 수도함
옴 사바바바 수다살바 달마 사바바바 수도함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금강반야바라밀경 전문

金剛般若波羅密經 금강반야바라밀경 法會因由分 第 一 법회유인분 제 1 如是我聞 여시아문 一時 佛 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俱 일시 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덕원 여대비

faithin.info-kidae.co.kr

 

반응형